earticle

논문검색

정은영의 <여성국극 프로젝트>에 나타나는 포스트휴먼(Posthuman)으로서의 ‘-되기(becoming)’ 개념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ncept of ‘Becoming’ as a Posthuman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박은경, 정연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roposes to examine the diversified bodies in Eun Young Jung’s Yeoseong Gukgeuk Project, the exploration of which Jung expands using Yeoseong Gukgeuk, a non-mainstream Korean all-female theater excluded from mainstream tradition, as the subject matter in connection with Gilles Deleuze’s view of body discourse. Jung is an artist who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ater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man’ of the female actors who play male roles. She analyzed the theater from a feminist perspective, using photos and videos, and recombined a queer gaze into contemporary plays. Yeoseong Gukgeuk and Jung’s projects are closely linked to gender issues regarding gender issues. Still, this paper argues that the ‘becoming’ in the project is not limited to feminism or queerness, and shows that Jung’s project provides a place to produce not only non-mainstream women and men but also post-human bodies. by including disabled people, who have been socially excluded and isolated due to loss or deformation of body parts, within the boundary of queer and gender intersection, union, and non-fixedness. To support this argument, the background and the process of ‘becoming a man’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process of acquiring masculinity performed by actresses of the Takarazuka Revue, an all-female theatrical troupe in Japan, to present the distinction of ‘becoming’ Yeoseong Gukgeuk. Relating Deleuze’s and Yeosong Gukgeuk’s concepts of ‘becoming,’ it analyzes how to dismantle the existing stereotypes used in the Yeoseong Gukgeuk Project and lay the stage for the production of a new body, understood as a post-human body, to create a more multifaceted perspective on Jung’s works.

한국어

본 연구는 여성국극을 소재 삼아 확장된 예술로 풀어낸 정은영의 프로젝트성 작업 에서 나타나는 다변화된 신체를 들뢰즈의 신체 담론의 견지와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 여성국극은 주류적 전통에서 배제된 일종의 국악 연극으로, 정은영은 이 여성국극의 역사적 배경 및 남성 배역을 맡은 여성 배우들의 ‘남성 되기’ 과정에 주목하여 사진 및 영상 등으로 아카이브화하고 퀴어적 시선을 결합하여 동시대 연극으로 무대화한 작가 이다. 정은영이 작업화한 여성국극은 성별 전환이라는 관점에서 젠더 이슈와 밀접하 게 연결되어 있으나, 연구자는 작가의 <여성국극 프로젝트>에 레즈비언, 게이, 트랜스 젠더 배우들과 함께한 장애 배우의 출연을 단초로 삼아 프로젝트에서 보이는 ‘되기’가 성별 전환의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퀴어적 존재는 일종의 비 주류로서 성별의 교차 및 결합, 비고정성 등을 보여주는데, 여기에 신체 일부의 상실 혹은 변형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배제되고 고립된 장애인들의 신체를 ‘되기’의 과정을 거친 신체에 포함시킴으로써 작가의 프로젝트가 주류와 비주류, 여성과 남성뿐만 아 닌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무너진 신체이자 포스트휴먼적 신체를 생산하는 장소를 제공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국극의 배경과 남성 되기 과정 을 일본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배우들이 수행하는 남성화의 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국 극 배우들의 ‘되기’만의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들뢰즈의 ‘-되기’ 개념과 연 관 짓고, 그것을 바탕으로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작품에서 사용하는 고정관념을 해 체해 나가는 방식과 포스트휴먼으로 인식되는 새로운 신체 생산을 위한 되기의 장을 마련하는 작품에 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정은영의 작품세계를 보다 다면적으로 이 해할 수 있는 시각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목차

I. 들어가며
Ⅱ. 여성국극의 배경과 남성 되기
Ⅲ. <여성국극 프로젝트>에서의 ‘-되기’
Ⅳ.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은경 Park, Eun-Kyung.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예술학전공 박사수료
  • 정연심 Chung, Yeon-Shim.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