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Legal Study on the Securities Deposit Settlement System Using Block Chain Technologies
초록
영어
Recently, the Financial Services Authority reported that it is pursuing legislation to revitalize the "Security Token Offering (STO) market, which digitizes securities under the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apital Markets Act)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apply blockchain technology to the securities settlement system is becoming visible.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dualized the virtual asset regulatory system,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virtual asset is a financial investment product, the STO applies the existing securities law, and other virtual assets are regulated similarly to the capital market regulatory system. Currently, only investment products subject to regulatory sandboxes are considered STO in Korea, bu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or STO utilization is required as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vestment products such as piecemeal investment an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If STO is incorporated into the concept of securities under the current Capital Markets Act, STOs will be subject to entry regulations, issuance and disclosure regulations, and business conduct regulations for brokers, thereby solving the current investor protection problem. However, when incorporating STOs into the system, there are still issues to be solved under the current laws, the Electronic Securities Act, and the Capital Markets Act. Along with the definition of distributed ledger in the Electronic Securities Act, distributed ledger should be allowed as a register for electronic registration of token securities. Due to the nature of the blockchain,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estroy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distributed ledger, so a solution must also be prepared to solve this problem. The current Capital Markets Act excludes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from the scope of application, but when considering STOs,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revenue securities and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s subject to the same law. In addition, investors should be protected by allowing transactions by over-the-counter intermediaries and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existing investor protection obligations.
한국어
최근 금융당국은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활용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디지털화한 토큰증권발행(Security Token Offering: STO)”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법제화를 추진한다고 보도 한 바 있다. 비로소 증권결제제도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기 위 한 제도의 구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가상자산 규제체계를 이원화하여 가상자산의 금융투자상품 해당 유 무에 따라 STO는 기존의 증권법을 적용하고, 그 외 가상자산은 자 본시장 규제체계와 유사하게 규제하는 것으로 입법화함으로써 STO 의 제도권 편입 및 규제에 대하여 제도적 인프라를 형성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규제샌드박스의 대상이 되는 투자상품에 한하여 STO로 보고 있는데 조각투자 등 다양한 투자상품의 개발 및 시장 의 확대에 따라 STO 활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행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개념에 STO를 편입할 경우, 동법에 의 하여 STO는 중개업체의 진입규제, 발행 및 공시 규제, 영업행위규 제 등을 적용받게 됨으로써 현재 발생되는 투자자 보호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 그러나 STO를 제도권 내로 편입하고자 할 때, 현행 법 전자증권법, 자본시장법 상의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전자증권법에 분산원장에 관한 정의와 함께 토큰증권의 전자 등록 을 위한 등록부로 분산원장을 허용하여야 한다. 블록체인의 특성상 분산원장에 기재된 정보는 완전 파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현행 자본시장법은 투자계약증권을 적용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으나 STO를 고려할 때 수익증권과 투자계약증권을 동법의 적용대상으로 편입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 한 장외거래중개업자에 의한 거래를 하용하고 투자자에 대한 충분 한 정보제공과 기존의 투자자 보호의무를 통하여 투자자를 보호하여야 한다.
목차
Ⅱ. 블록체인 기반 증권결제제도에 대한 각국의 태도
Ⅲ. 증권결제제도의 블록체인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
Ⅳ. 블록체인 기반 증권결제제도 도입을 위한 현행법 개정방향
Ⅴ. 나오며
< 참고문헌 >
< 국문초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