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pastoral ministry in Korean Church and live as a missional community. In particular, this thesis examines the Bi-vocational Ministry that has recently been an issue in Korean Church. Among other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which understands ‘Missio Dei’ as the essence of the church, it argues that it should be a Missional Bi-vocational Ministry that joins God's mission beyond the Bi-vocational Ministry for survival. The present, the Korean Church is facing the post-religion and post-Christian era, and a new missional model movement that started in the West is appearing together. In this situation, if the Korean Church can not avoid the Bi-vocational Ministry, which is a new missional model, it should deal with how to become a Missional Bi-vocational Ministry with a healthy identity. With this understanding, there are four things that can be seen through this paper. First,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Korean Church, the interest and discussion about the Bi-vocational Ministry is fierce. Second, the biblical, missional, and permissive policies of the Korean Church for the Bi-vocational Ministry can be seen. Thir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rminology of Missional Bi-vocational Ministry. Fourth, six core theologies that should be dealt with for a healthy Missional Bi-vocational Ministry can be examined.
한국어
이 논문은 줄곧 침체기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한국교회가 포스트모던의 다원적 사 고, 과학 문명의 혁신적 발전, 고령화와 인구절벽 현상,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단절 과 기독교 이미지 추락, 나노사회(Nano society)로 인한 공동체성 해체 등과 같은 목 회환경의 급변 속에서 어떻게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해 선교적 공동체로 살아갈 수 있 는지를 연구한 글이다. 특히 이 논문은 최근 한국교회에서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는 ‘이중직 목회’(Bi-vocational ministry)에 대해 살피는데, 그중에서도 ‘하나님의 선 교’(Missio Dei)를 본질로 삼는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의 관점에서 생계를 위한 이중직을 넘어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선교적 이중직 목회’(missional bi-vocational ministry)가 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런 뜻에서 이 논문은 건강한 선교적 이중직 목회를 위한 정체성의 필요성과 함 양해야 할 기초 핵심 신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논한다. 이는 현재 한국 교회의 상황이 탈종교 및 탈 기독교 시대에 맞닿아 있는 데다 유럽과 북미에서 시작한 새로 운 선교적 모델 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첫째, 치열한 한국교회의 목회 현장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이중직에 대한 관심에 대해 어느 정도 살필 수 있 다. 둘째, 이중직 목회에 대한 성경신학적, 선교신학적, 교단별 허용정책과 찬반에 대 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선교적 이중직 목회의 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넷째, 건강한 선교적 이중직 목회를 위해 꼭 다루어야 할 여섯 가지 핵심 신학으로, 1) 사도적 소명 의식, 2) 제사장적 일터신학, 3) 코이노니아 공동체, 4) 선교적 훈련, 5) 선교적 서번트 리더십, 6) 변혁적 제자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결국, 현재는 물론 한국 교회의 미 래 목회로서 새로운 선교적 모델인 이중직 목회가 현실적으로 불가피하다면, 하나님 의 선교를 위해 지역사회와 공존하면서 성육신적으로 상황화한 이중직 목회가 이뤄지 도록 올바른 선교적 정체성을 세워나가는 것은 중요하고도 시급하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이중직 목회 이해
1. 성경신학적 이해
2. 선교신학적 이해
3. 교단별 정책과 찬반 이해
III.‘선교적 이중직 목회’의 용어 이해
IV. 선교적 이중직 목회의 건강성을 위한 기초 핵심 신학
1. 사도적 소명의식
2. 제사장적 일터신학
3. 코이노니아 공동체
4. 선교적 훈련
5. 선교적 서번트 리더십
6. 변혁적 제자도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