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독 청년의 기독교 평판에 관한 질적연구

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f Christian Reputation of Christian Young Adults

김성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reputation of Christianity that were gathered from interviews with Christian young adults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and alternatives to Christianity,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Christianity's status has further declined after the COVID-19 period. It likewise provides an outlook on the post COVID-19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young adults who had been attending church for at least 10 years, with a gender split of six men and four women with ages ranging from 21 to 32. The causes of Christianity's negative reputation in society were inconsistency between faith and way of living, exclusivity, disrespect, pastoral problems, the influence of heresy, and biased media coverage. In addition, the pressure to serve in the church was a problem felt by the participants themselves as young adults.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were living out the faith, practicing reform, strengthening communities, restoring faith, and improving evangelism methods. Participants' predictions for the post COVID-19 era included an increase in "floating Christians," those who identify as Christian without attending church, and an expansion of non-contact ministries. While there was a mix of excitement and concern about virtual ministry, the prevailing opinion was to use it wisely to respond to the changing times and needs of the congregation.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Korean church leaders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th critical thinking and prepare alternatives. Through such attempts, educational ministries reflecting the voices of young people, educational ministries with young people, and educational ministries for young people will be implemented, and the church will be restor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시기를 지나면서 기독교의 위상이 더욱 추락한 현실을 고려하여 기독 청년들과의 면담을 통해 기독교 및 한국교회의 문제점과 대안을 분석 하였다. 아울러 청년들의 관점에서 post COVID-19 시기에 나타날 기독교의 변화에 대해 전망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 및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한국 기독교 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참여자는 교회 출석 한 지 10년 이상 된 청년 10명으로, 참여자의 성별은 남자 6명과 여자 4명, 연령은 21 세에서 32세 사이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기독교가 사회로부터 부정적 평판을 받는 원 인을 기독교와 성도들의 삶과 신앙의 불일치, 기독교의 배타적 태도, 기독교의 무례 함, 목회자의 도덕성 및 의사소통의 문제, 이단의 영향, 언론의 편파적인 보도라고 보 았다. 아울러 연구참여자 자신이 청년으로서 느끼는 문제점으로 교회의 봉사 강요가 도출되었다. 이중 삶과 신앙의 불일치, 배타적 태도, 무례함, 목회자 문제, 봉사 강요 는 교회 내부적 문제, 이단과 언론 문제는 외부적 문제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는 신앙을 삶으로 살아내기, 구습과 병폐로부터 개혁 실천하 기, 돌봄의 공동체 회복하기, 신앙의 본질 회복하기, 전도 방법 개선하기 등이었다. 연 구참여자들이 전망하는 post COVID-19 시기 특징은 교회에 출석하지 않으면서 기독 교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진 플로팅 크리스천(floating Christians)의 증가와 비대면 사역의 확대였다. 비대면 사역에 관하여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나, 선 용하여 시대적 변화 및 성도들의 필요에 부응하자는 의견이 보다 우세하였다. 본 연 구자는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비판적 사고로 바라보고 대 안을 준비하기를 제안한다. 그와 같은 시도를 통해 청년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는 교육목회, 청년과 함께하는 교육목회, 청년을 위한 교육목회가 실행될 수 있을 것이며 교회의 회복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엄격성
IV. 연구 결과
1. 기독교 비평
2. 기독교 대안
3. Post COVID-19 변화
V. 논의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원 Kim, Sung-Won. 총신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