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문화적 차이가 정보의 양과 소비자 선택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 : 권력 격차와 불확실성 회피 차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Dif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onsumer Choice-quality : Focusing on Power Distance and Uncertainty Avoidance Dimensions

김초연, 이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cultural differences, power distance and uncertainty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onsumer choice-quality. The sample used in the study was 203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obtained.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onsumer choice-quality in sampl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lso, this study confirms that difference in power distance dimens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onsumer choice-quality. In other words, higher power distance dimension worsens the U-shape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information overload. However, the dimension of uncertainty avoidance does not affect the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We conclude that the difference in power distance dimension, not uncertainty avoidance,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onsumer choice-qual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차이(권력 격차와 불확실성 회피 차원)가 정보의 양과 소비자 선택성과의 관계 즉, 정보과부하 현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 석 결과, 소비자 선택성과와 정보의 양이 한국과 미국 집단 모두 역 U자형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높은 권력 격차 차원은 정보 의 양과 소비자 선택성과 간 역 U자형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위험 회피 차원의 문화적 차이는 정보의 양과 정보과부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문화적 가치관인 권력 격차 차원의 차이가 정보과부하와 소비자 선택성과의 관계에 조절 효과를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정보과부하와 소비자 선택성과의 관계
2. 정보과부하와 소비자 선택성과 관계의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III. 가설설정 및 연구모형
1. 정보 과부하와 권력 격차 문화적 차원의 조절 효과
2. 정보과부하와 불확실성 회피 문화적 차원의 조절 효과
IV. 연구 방법
1. 표본선정과 자료수집방법
V. 연구 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정보의 양과 소비자 선택성과의 관계 분석
4. 권력 격차 차원의 조절 효과 검증
5. 불확실성 회피 차원의 조절 효과 검증
VI.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초연 Kim, Cho-Yeon.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철 Lee, Chol.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명예교수 및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