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해안지역 대규모 건축물 건설이 해륙풍에 미치는 영향
초록
영어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large-scale buildings construction on sea-land winds in coastal area using a CFD model based on GIS data. The analysis included changes in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and wind speed depending on adjustments to the height and wind-corridor of building facade. In sea wind conditions, the flow tended to converge behind the building (the downwind area of land) and vortices were formed around the building. The wind speed around the building weakened due to vortices and other influences, while it strengthened somewhat at the western boundary. Convergence and increased wind speed were more pronounced and affected a wider area behind the building when the building facade height was constant. In land wind conditions, the flow tended to converge on the sea (the downwind area of building), and the wind speed weakened around the building due to the formation of vortices. However, the wind speed increased somewhat on the sides of a building and the sea. Especially, the convergence and increased wind speed on the seaward side were more pronounced and covered a relatively wide range in buildings with a constant height of facade. It is also suggested that in actual construction, designs based on wind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adjusting the height and wind-corridor of buildings can alleviate changes in the wind environme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GIS 자료를 기반으로 해안지역의 대규모 건축물이 해륙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이 를 위해, 대규모 건축물의 높이 조정 및 통경축에 변화를 CFD모델에 반영하고, 해풍 및 육풍 조건에서 수평 및 연직 바 람성분과 풍속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규모 건축물이 건설됨에 따라, 건물 주변에서는 와류 형성 등의 영향으로 풍속이 약화되었다. 풍하측 지역에서는 수렴현상이 나타났으며, 해풍조건에는 육상, 육풍조건은 해상에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평 및 연직 바람성분의 변화를 보였으며, 풍하측 지역과 건축의 측면부에서는 풍속이 다소 강화되었다. 특히, 수렴현상 및 풍속강화현상은 건물 높이가 일정한 건축물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규모 건축물 건설에 있어 건물의 높이 조정과 통경축을 고려한 외관은 풍환경의 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실 제 건설에 있어 풍환경 영향평가를 기반으로 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수치모델
2. 대상 영역 및 유입경계조건
3. 지표경계자료 및 수치실험
III. 결과 및 고찰
1. 수평흐름 변화 분석
2. 연직흐름 변화 분석
3. 풍속 변동량 평가
IV.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