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riority Analysis for Resolving Community Welfare Blind Spot

원문정보

지역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대안 우선순위 분석 - 전문가 그룹 AHP를 중심으로 -

Hyo Jin Song, Ju Ho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ategorizes welfare blind spots based on previous studies to discover policy alternatives to resolve welfare blind spots in the community, and conducts AHP analysis for experts through applicable existing policy programs and proposed applicable policy alternatives. did Welfare blind spots for this purpose were classified as unqualified, insufficient, and unexplored welfare blind spo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though they are already in a crisis situation enough to meet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key to solving the welfare blind spot is to discover and support the target of the welfare blind spot, which is located in the high-risk group. appeared as a policy target. As a policy alternative to solve this problem, the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factors was ranked high, and above all,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scope of information integration of the existing system. In addition, the need for access through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s for unqualified groups who do not meet the qualifications at the system boundary was presented as an important alternative.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정책대안 발굴을 위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복지사각지 대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라 적용가능한 기존 정책프로그램과 제안된 활용가능한 정책대안을 통해 전문 가 대상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한 복지사각지대 유형은 미자격, 불충분, 미발굴 복지사각지대로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자격기준에 부합할 만큼 이미 위기 상황에 처해 있음에도, 복지서비스에 접근하 지 못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은 집단으로 고위험군에 위치하는 복지사각지대 대상에 대한 발굴과 지원이 복지사각지대 해소의 핵심 정책대상으로 나타났다. 이의 해결을 위한 정책대안으로 정보 화요인의 중요성이 상위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 기존 시스템의 정보통합 범위를 확대․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제도 경계선에서 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미자격 그룹에 대하는 사회서비 스의 확충을 통한 접근 필요성이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복지사각지대의 복잡성을 고려한 별도의 기금 운용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복지사각지대의 개념
2.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기준 설정
Ⅲ. 복지사각지대 해소 정책 우선순위 분석
1. 연구설계
2. 정책 대상 우선순위 분석 결과
3. 정책 대상별 정책영역 우선순위 분석 결과
Ⅳ. 종합우선순위 및 시사점
1. 복지사각지대 해소 정책 종합우선순위 결과
2.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yo Jin Song Sungkyul University, 53 Sungkyuldaehak-ro, Manan-gu, Anyang-si, Gyeonggi, Korea
  • Ju Ho Lee Sehan University, Namsan-gil, Sinpyeong-myeon, Dangjin-si, Chungnam,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