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노년의 윤리학에서 노년의 사회철학으로 : 노년담론에 대한 보부아르의 사회철학적 전회

원문정보

From Gerontological Ethics to Social Philosophy of Old Age : Beauvoir’s Socialphilosophical Turn on Old Age Discourse

이하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Plato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life of the elderly and the older can be defined as the ethics of old age. Beauvoir criticized it as spiritualism and moralism and carried out a social philosophical turn of old-age ethics. Based on the theme that ‘who is the elderly’ is socially determined, Beauvoir judges the phenomenon of the elderly-othernization in various ways as a failure of civilization. She required transformation of society without the elderly in which there is no inequality in old life resulting from class and gender differences and the elderly do not become otherized. Boboir proposes an elderly-friendly social structures, policy directions and political power for the elderly, such as jobs for the elderly, leisure, pensions, and welfare systems. It is a demand for the humanization of society. At the same time, she emphasizes the change in the elderly’s own self-awareness and continuous pursuit of meaning-making activity. Despite the lack of specific strategies for generational integration and transformation of capitalist exploitation structures diagnosed as the key cause of the elderly’s otherization, Beauvoir’s idea and direction of practice are still valid in our society, which is on the verge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and in the era of global aging. Wha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right to life and good life of the elderly under today’s changed social conditions is the contextualization, presentization, and sociologizing of Boboir’s social philosophy of old age. In addition, it requires organic combination with practical studies such as social gerontology and educational gerontology.

한국어

플라톤 이래로 노인과 노년의 삶에 관한 전통적인 철학담론은 노년 (노인) 윤리학이다. 보부아르는 그것을 ‘정신주의’, ‘도덕주의’라고 비 판하며 노년 윤리학의 사회철학적 전회, 패러다임의 전환을 감행했다. 보부아르는 ‘누가 노인인가’는 사회적으로 결정된다는 입장이며, 이에 노인의 타자화를 ‘문명의 실패’로 간주한다. 그는 계급과 성차에서 비롯된 노년 삶의 불평등이 없고, 노인의 타자화가 발생하지 않는 ‘노인 없는 사회’로의 변화를 촉구한다. 보부아르는 일자리와 여가, 연금, 복지제도 등 노인 친화적인 사회구조, 정책방향 및 노인의 정치세력화 를 제안한다. 동시에 노인 자신의 자기인식 변화와 지속적인 의미추구 활동을 강조한다. 노인 타자화의 근원원인으로 진단한 자본주의 착취 구조의 변혁과 세대갈등 극복을 위한 세대통합 전략과 실천프로그램 에 대한 논의의 빈곤에도 불구하고, 보부아르의 ‘노인 없는 사회’ 이념 과 실천방향은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눈앞에 둔 우리 사회에 시사하 는 바가 크다. 노년의 삶의 권리와 좋은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보부아 르가 수행한 노년 사회철학의 문맥화, 현재화와 사회학화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노년 윤리학
Ⅲ. 노년 윤리학의 사회철학적 전회
Ⅳ. 노년의 현실과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실존적 방향과 전략
Ⅴ. 나오는 말: 노년 윤리학의 사회철학적 전회를 넘어 사회학화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하준 Lee, Ha-Jun.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