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재일코리안의 ‘전통마당’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 오사카 ‘한국전통문화마당’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 Methods of ‘Traditional Madang’ of Zainichi-Koreans : Focusing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Madang’ in Osaka

박태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performance status and present problems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Madang in Osaka, and suggests opinions to seek methods for its developmen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Madang started in 2007, and about 10odd teams in three groups of Old Comer, New Com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participated until 2021. Also, to classify works performed in the 1st to the15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Madang into ga (歌, vocal music)/ak (樂, instrumental music), mu (舞, dance), and hui (戱, performance play), it can be seen that 14 works were ga/ak, 35 works mu, and 18 works hui, respectively. And to take a close look at mu, which accounts for the largest proportion among the performed works, it includes court dance and folk dance. The folk dance again include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and creations, and the proportion of creations was far higher. It is judged that the review of traditional foundation of overall performances as well as the proportion of court dance and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to creations should be considered. And further, it is deemed that long-term regular exchanges should be promoted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ditional artists through the formation of their platform and that the overseas expansion of education for the success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the increase of opportunities for th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오사카의 한국전통문화마당을 중심으로, 그것의 참가 단체 및 공 연 현황, 당면 과제, 그리고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2007년 출발한 한국전통문화마당에는 2021년까지 올드커머와 뉴커머, 교육기관의 세 그 룹으로 나뉘어 대략 10여개 팀 정도가 참여한 바 있다. 그리고 이 팀들을 분야별로 나누어 보면 판소리와 민요가 3팀, 무용이 8팀, 타악 등의 연희가 3팀으로, 무용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1회에서 15회까지 한국전통문화마당에서 공연된 작품들을 歌/樂, 舞, 戱로 나누어 살펴보면 가/악이 14, 무가 35, 희가 18 종 목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공연 종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무를 자세히 살펴보면, 여기에는 궁중 정재와 민속춤이 포함되어 있다. 민속춤에는 다시 문화재 지정 종목과 창작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비율상 창작의 비중이 훨씬 높았다. 향후 정재 및 문화재지정 종목과 창작의 비율은 물론, 공연 전반의 전통적 기반에 대한 점검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한일 전통예술 인들의 플랫폼 형성을 통한 장기적이면서도 일상적 교류를 도모하고, 국가무형문 화재 전승교육의 해외 지역 확대 및 기회의 증대를 재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재 일코리안이 추구하고 계승하며 보존하고자 하는 전통이 한국의 그것과 유리되는 일이 없도록 상호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전통문화마당의 출발 및 참가 예술단체
3. 한국전통문화마당의 공연 현황 및 당면 과제
4. 결론을 대신해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태규 Park Taequ.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