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韻鏡』의 ‘開合’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ai He’ of YunJing

『운경』의 ‘개합’에 대하여

孟垚, 李京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four changes marked as ‘Kai He’ in YunJing by referring to the textbooks of each representative YunJ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schola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ructure of ‘He’ is defined as [u(w) + central vowe + ending]. Scholars have defined ‘He’ to include cases where the nucleus is u or o, which is why the categories like group Tong(通) were also classified as ‘He’. 2) The second zhuan(轉) as ‘Kai He’ is determined by the coexistence of ‘Kai’ and ‘He’ characters. The first rhyme Dong(冬) belongs to ‘Kai’, while the third rhyme Zhong(鐘) belongs to ‘He’. 3) The third zhuan(轉) and fourth zhuan(轉) as ‘Kai He’ is determined to be a result of errors or additions made by later scholars. It is believed that the original text classified them simply as ‘Kai’. 4) The twelfth zhuan(轉) is written as ‘Kai He’, it is judged as ‘Kai’.

한국어

본 고에서는 각 대표적인 『韻鏡』 校本과 先學들의 再構音을 참고하여 『韻鏡』에서 ‘開合’으로 표기되어 있는 네 개의 轉圖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合口는 [u(w)+主母音+韻尾]라는 구조로 정의해야 한다. 학자들은 主母音이 u 나 o인 경우도 合口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通攝 등을 合口로 규정했던 것이다. 2) 第二轉을 ‘開合’으로 기재하는 것은 開口字와 合口字가 공존하는 것으로 판 단된다. 第二轉의 1等 冬韻은 開口로, 3等 鐘韻은 合口로 판단된다. 3) 第三轉과 第四轉의 ‘開合’은 후인들의 誤記나 增添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원서는 ‘開’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第十二轉을 ‘開合’으로 기재하는 것은 ‘開’으로 판단된다.

목차

1. 序論
2. 開合의 정의
3. 先學들의 관점
4. 『韻鏡』의 “開合” 문제에 대한 검토
5. 결론
參考文獻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孟垚 맹요. 東國大學校 서울캠퍼스 日本學科 博士課程 修了, 音韻論
  • 李京哲 이경철. 東國大學校 서울캠퍼스 日本學科 敎授, 音韻論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