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 육군의 모의 전쟁이 전시하는 전승의 욕망 - 육군특별대연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sire to Winning the War Embodied in the Mock battle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 Focused on the Large-scale Field Maneuver Exerices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김경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ngoing civil war after the Meiji Restoration caused the necessity for a poweful, imperial armed forces in Japan. The German military system, therefore, was adopted as a main scheme owing to its training system, organizational power, and firepower as a division system. The Imperial Guards was also reorganized. With the Imperial Japanese Armed Forces, Japan won the Sino-Japanese War, which led to Japan's entry into the western colonial powers.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government separated the military command from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o strengthen the authoritative power of military government in the Empire of Japan. The Emperor of Japan was designated as the commander-in-chief for the Imperial Armed Forces and soldiers became ideological followers having no fear of dying in the war. The Japanese Imperial Army maintained this system and prepared for war against foreign countries by conducting annual European field maneuvers from 1892 to 1936. A field maneuver was a military exercise to examine strategies, tactics, and new weapons to win the war;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used to present the military power of the Empire of Japan to foreign military officials and foreign guests. The Japanese government utilized these exercises as an opportunity to reaffirm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round Korea and the Qing dynasty. In addition, field exercises were visualized in the form of ukiyoe, photo albums, picture postcards, and commemorative stamps, and through this, symbols for the emperor as a powerful army and commander-in-chief were announced. Among them, observation of mobility exercises, where children can see the emperor in person, was used as a way to train as a soldier in the future and foster militarism. Accordingly, the annual large-scale field maneuvers formed a social awareness that made war recognized as daily life and further strengthened the happiness of the Japanese Empire's victory in the war.

한국어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지속되는 내란을 경험하면서 강력한 제국 군대의 필 요성에 부딪혔다. 이에 따라 일본 육군은 프랑스, 해군은 영국 군제를 수용하고 근 위사단을 정비했지만, 최종적으로 훈련된 장교와 조직력, 사단제로서 공격력을 갖 춘 독일식 군제로 편제했다. 그 결과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였고 이는 일본 이 서구 열강에 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 정부는 천황제 국가 에서 절대주의적인 성격이 강한 군부를 강화하기 위해 군정과 군령을 분리하여 천 황을 황군의 대원수, 병사는 전쟁에서 죽음도 불사하는 천황제 이데올로기의 추종 자로 만들었다. 일본 육군은 이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유럽의 ‘대 기동훈련’을 ‘육군특별대연습’이라는 이름으로 1892년부터 1936년까지 매년 실시했다. 육군대 연습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 전략과 전술, 새로운 병기 확인이라는 군사훈련이지만, 국제적으로는 외국의 군 관계자와 외빈 참관을 허용하여 제국 일본의 군사력을 광 범위하게 전시했고, 이는 20세기 초 한국과 청나라(중국)를 둘러싼 국제관계성을 재확인하는 기회로 활용했다. 일본 국내에서는 대 기동훈련을 시각화한 우키요에, 사진첩, 그림엽서, 스탬프를 통해 강력한 일본 육군과 대원수 천황의 표상을 대중 화하고 대연습 참관과 천황의 알현이라는 현장 활동으로 미래 황군이 될 아동의 군사 교육과 상무정신 고양의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매년 개최된 대연 습은 일본 국민이 ‘전쟁’을 일상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고 더 나아가 제국 일본의 전승 도취를 강화하는 기제로 작용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 육군과 육군특별대연습
3. 대원수 통감의 시각화
4. 대연습 전시(展示)와 일본의 위상
5. 나가며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리 Kim, Kyoung-lee.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 일본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