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Human Rights of Zainichi Korea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Norm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free high school education movement, which carried out by Chosen Gakko (School for ethinic Koreans in Japan),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2013 free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and its future dire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through education,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to provide the gradual free higher education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states that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refore, the United Nations has repeatedly recommended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has excluded Chosen Gakko from the measures to make high schools free of charge, make amendments, bu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taken a negative response to the recommendations, which are not legally binding. Chosen Gakko concerned persons have been campaigning to protest against the exclusion of Chosen Gakko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rough trials, rallies such as ‘Friday Action’ and lobbying activities such as visits to the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mmission. However, the time has come to reconsicer the results of movements such as all of the five lawsuits filed for free education ended in defeat, decrease in local government subsidies for Chosen Gakko, rapid decline in Chosen Gakko student numbers. Due to the difficulty of setting the agenda of the movement and the limited opportunity structure such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s, the way forward for the movement is to aim for universal norms through solidarity with transnational human rights movement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the ‘students’ of the Chosen Gakko who are suffering from political judgments and decisions. Appealing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public opinion based on universal human rights norms is a resource that can be mobilized to mobiliz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society.
한국어
본 논문은 2013년 고교무상화 대상에서 제외된 조선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된 무 상화운동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향후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엔의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과 ‘아동의 권리조 약’에는 교육을 통한 인권과 기본적 자유의 존중을 강화하기 위해 고등교육의 단 계적 무상화 조항을 정하고 있으며, 아동의 최선의 이익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 을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은 조선학교를 고교무상화 조치에서 제외한 일본 정부에 대해 여러 차례에 걸친 수정 권고를 해왔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는 권고 조 치에 대해서 일본 정부는 소극적으로 대응해왔다. 조선학교 관계자들에 의한 재판 소송, 배제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 및 시위, 유엔 인권위 방문 등을 통해 무상화운동은 일본 정부의 조선학교 배제 조치에 항의하기 위해 ‘민족차별’을 주장하며 운동을 전개해 왔다. 그러나 5곳에서 제기되었던 무상 화 재판은 모두 패소 판결이 났으며, 지자체의 조선학교 보조금의 감소, 조선학교 학생수의 급감 등 운동의 성과를 재고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운동의 아젠다 설정의 어려움, 국내외 정치상황 등 한정적 기회구조 하에서 향 후 무상화운동의 방향성은 국제사회의 초국가적 인권운동과의 연대를 통한 보편 적 규범에 입각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정치적 판단과 결정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것은 조선학교의 ‘학생들’이다. 보편적 인권규범에 입각하여 국제사회와 연대하고 여론에 호소하는 것이 일본정부와 사회를 움직이는데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라 할 수 있다.
목차
2. 국제인권규범과 일본 정부의 대북제재
3. 조선학교 고교무상화 배제 철회를 위한 운동
4. 무상화운동의 특수성과 한계 : 민족차별 vs. 안보의 논리
5. 결론: 국제인권규범의 동원과 초국적 시민연대
참고문헌
要旨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