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탐색적 논문

코로나19 사태 발생 초기 조직체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떠했는가? : 국내 34개 종합대학교의 1761개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How Did Organizations Communicate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COVID-19 Crisis? An Analysis of 1,761 Messages from 34 Universities in South Korea

정지연, 박대근, 홍다예, 박노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risis response communication in university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during the early stage of the COVID-19 outbreak using the SMCRE model. To achieve this, 1,761 messages sent by 34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during the initial six months of the COVID-19 pandemic were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all university organizations focused on COVID-19-related communication from early February to the end of March. Howeve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demonstrated greater agility in delivering messages emphasizing crisis response and stakeholder safety through independent channels, under the names of their university presidents. In terms of university size, larger universities emphasized crisis sharing and stakeholder assurance, sending messages that encompassed a diverse range of stakeholders. On the other hand, smaller universities sent a higher volume of messages under the names of their university presidents compared to larger universities. During a specific period (mid-February to the end of March), smaller universities also shared more COVID-19-related information through specialized channels.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ommunication subjects, content, channels, and recipients of organization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crisis,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strategies.

한국어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조직체의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을 대학교 및 SMCRE 모형을 토대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국내 34개 국공립 및 사립 대학이 코로나19 발생 초기 6개월간 발송한 1,761개의 메시지를 분석한 결과, 2020년 2월 초부터 3월 말까지 코로나19 관련 대응 커뮤니케이션을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은 대학 조직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이 비수도권 대학보다 더 기민하 게 위기대응과 이해관계자 안전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총장급 정보원과 코로나19 전용 채널을 통해 전달했다. 규모 면에서는 대규모 대학이 위기대응상황 공유와 이해관계자 안전을 강조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아우르는 메시지를 중소규모 대학보다 더 많이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규모 대학은 대규모 대학보다 총장급을 정보원으로 하는 메시지를 더 많이 발송했으며, 특정 기간(2월 중순∼3월 말)에는 코로나19 전용 채널을 통해 관련 정보를 더 많이 공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대학 조직체의 커뮤니케이션 주체, 내용, 채널과 수신자가 시계열적으로 어떠한 변동 양상을 나타냈는지를 살핌으로써 향후 다양한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와 실무 에 함의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논의
1. 코로나19 발생 초기 상황과 대학 조직체의 커뮤니케이션
2. SMCRE 모형과 대학 조직체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및 자료 수집
2. 코딩 카테고리
3. 코딩 절차 및 코더 간 신뢰도
분석 결과
1. 분석 방법론
2. 비교 집단 및 변수 생성
3. 연구문제 1 분석
4. 연구문제 2 분석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지연 JiYeon Jeong.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부교수
  • 박대근 DaeKeun Park. 차의과학대학교 데이터경영학과 조교수
  • 홍다예 DaYe Hong.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박사과정
  • 박노일 Nohil Park. 차의과학대학교 의료홍보미디어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