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articipation in Housework Among 30-Somethings : A Latent Class Analysis
초록
영어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anging nature of housework by analyzing participation in domestic work among 30-somethings according to generational and life cycle characteristics. To this end, 2,687 men and women in their 30s were taken from the 2020 Family Status Survey data, and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ir participation in housework.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verall non-participation (18.05%), overall participation (59.96%), and intensive cleaning participation (21.99%). Gender, employment status, family life cycle, and attitudes about gender ro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ticipation in housework. Men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non-participation group, whil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participation group. Individuals in the pre-formative period of the family life cycl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non-participation group, while those in the formative and expanding period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particip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inequality in housework is common in the younger gener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 the same generati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housework differ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적, 생애주기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이는 30대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가사노동 의 속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가족실태조사 자료에서 추출한 30대 남녀 2,687명 의 가사노동 참여 여부를 유형화 지표로 잠재계층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 비참여형(18.05%), 전반적 참여형 (59.96%), 청소 집중형(21.99%)의 3개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가사노동 참여 유형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취업상태, 가족생애주기, 성역할 태도가 유의하였다. 여자는 남자보다 청소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비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낮았으며, 전반적 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가족생애주기에 따라서는 형성기 이전인 경우에 청소 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비참여 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형성기, 확대기인 경우에는 청소 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가사노동의 성불평등성이 젊은 세대인 30대에게도 유효함을 시사하며, 같은 세대 내에서도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가사노동 참여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