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초고령사회 일본의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 - 연령계층별 차이에 주목하여 -

원문정보

Expectations for Social Security and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in a Superaged Society :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Japan

이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based on survey data from Japan, I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ations for social security and the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by age group.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from the ʻʻSurvey on Life Security, 2019ʼʼ conducted by the Japan Life Insurance Cultural Center, which surveyed men and women aged 18 to 6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pectations about health insurance are higher than expectations about other forms of social security in all age groups. Second, when it comes to expectations for public pensions, both men and women have the highest average scores in their 60s. Third, the age group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 for public health insurance, public pension, public care insurance, and survivorsʼ pension was found to be those in their 40s. In addition, men in their 20s had a higher average score on their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Fourth, the effect of social security expectations on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was found to be somewhat different for gender and age groups, but overall, it was found that public health insurance expectations were an important factor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ife in old ag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령계층별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인식과 노후 생활 인식의 차이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생명보험 문화센터가 실시한 「생활보장에 관한 조사, 2019」이며, 이 자료는 전국 18~69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연령계층에서 건강보험에 관한 기대수준이 다른 사회보장에 대한 기대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적연금에 대한 기대수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모두 60대에서 평균점이 가장 높았다. 셋째, 공적건강보험, 공적연금, 공적개호보험, 유족연금에 대한 평균점이 가장 낮은 연령계층은 4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남성의 노후 생활 인식의 평균점이 높았다. 넷째,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기대가 노후 생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 및 연령계층에서 다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공적건강보험 기대수준이 노후 생활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첫째, 건강보험의 유용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고령세대의 가계소비지출에서 의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 등 고령세대의 의료비 지출 규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청년층과 고령층의 중간에 해당하는 40대의 특성을 고려한 사회보장제도 및 노후생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수진 Lee, Sujin. 일본 弘前大學 교육학부 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