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Japan has enacted and is operating the ADR Promotion Act, which stipulates matters to promote the use of ADR and ensur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ADR. Under this legal foundation, the Intellectual Property Arbitration Center, as a private ADR institution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has performed task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mediation and arbitration since the late 1990s. However, while the private ADR was sluggish, the intellectual property reconciliation system, a judicial ADR, was introduced to quickly resolve civil dispute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using a flexible civil mediation procedure. In Korea,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established an Industrial Property Dispute Mediation Committee to introduce administrative ADR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Recently,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dispute mediation by the Industrial Property Dispute Mediation Committee has been on the rise. The number of adjustment applications, which was 45 in 2019, increased to 83 last year, and the cumulative number of applications in the first half of 2022 is already 53. This increase in applications for mediation is due to increased interest in the dispute mediation system that can be resolved free of charge in a short period of time rather than the long-term and expensive litigation system of individuals and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 companies who have suffered infringement of patents, trademarks, trade secrets, etc. under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Korea also respects the desirable operation of judicial, administrative, and private ADRs, that is, the initiative and autonomy of the parties to the dispute, as much as possible. A legal basis must be established for this to happen.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provision of intellectual property arbitration procedures in the Tokyo and Osaka District Courts, which are the courts of first instance for technical and non-technical cases in Japan,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aspect of reducing litigation costs, prompt dispute resolution, and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the parties to the dispute, etc. The introduction of judicial ADR in Korea should also be actively reviewed.
한국어
일본은 ADR의 이용을 촉진하고 ADR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 기 위한 사항들을 규정한 ADR 촉진법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 러한 법적 기반 하에 지식재산분야에서 민간형 ADR 기관으로서 지적 재산중재센터가 90년대 후반부터 지식재산 조정, 중재 등 업무를 수행 하였다. 그러나 민간형 ADR이 부진한 사이 지식재산권에 관한 민사 분쟁을 민사조정의 유연한 절차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해결하고자 사법 형 ADR인 지재조정제도를 도입하였다. 한편, 우리나라는 특허청에서 산업재산분쟁조정위원회를 두어 지식 재산분야에 있어 행정형 ADR을 도입하고 있다. 최근 산업재산권 분쟁 조정위원회의 분쟁 조정신청 건수는 최근 증가 추세로, 2019년 45건이 었던 조정신청건수가 작년 83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 상반기 누적 신청은 이미 53건에 이르렀다.62) 이러한 조정 신청의 증가는 어려운 경 제 여건 하에서 특허·상표·영업비밀 등 침해를 겪은 개인·중소벤처기업 들이 장기간 고비용이 소요되는 소송 제도보다 단기간에 무료로 해결 이 가능한 분쟁조정제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사법형, 행정형, 민간형 ADR의 바람직한 운영 즉, 분쟁 당사자의 주도성,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는 한편, 소송절차와 대등한 분쟁해결수단으로서 ADR이 국민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의 기술형‧비기술형 사건의 1심 법원인 도쿄‧오사 카지방재판소에 지재조정절차를 마련한 것을 참고하여 소송비용의 절 감, 신속한 분쟁해결, 분쟁당사자의 자율성 보장 등의 측면에서 지식재 산분야에서의 사법형 ADR 도입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목차
Ⅱ. 법원에 의한 지식재산권에 관한 조정제도
Ⅲ. 지적재산중재센터를 활용한 분쟁해결
Ⅳ. 한국형 ADR제도의 운영방안에 관한 시사점
Ⅴ. 마치며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