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축저작물의 창작성 판단 기준 - 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9도9601 판결의 재평가 -

원문정보

The Standard of Originality for Architectural Works : Critical Review of Supreme Court’s 2019Do1960 Decision

류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Copyright Act of Korea has stipulated ‘architecture’ as copyrightable from the beginning, the Supreme Court has long been negative in protecting architectural works. The main reason lies in that architectural works are of functional nature. Formerly, in an architectural drawing case, which belongs to a mainstream architectural works disputes, the Supreme Court took a negative position by stating that a degree of expressive choice is insufficient to justify copyrightability of an architectural drawing due to its functional nature. However in a recent case called Terarosa (Supreme Court’s Decision No. 2019Do9601), the Supreme Court shifted its position towards slightly more positive side in recognizing creativity of architectural works. Thereafter, the same positive wording is repeated in other cases in which copyrightability of drawings is mattered.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sign of changing views of the Supreme Court regarding creativity of architectural works suggested by minute change of the judgment’s wording, as well as its implication in the copyright protection of architectural works henceforth. Also, it is noted in this study that Terarosa court affirmed the architectural work’s creativity on the basis of its total expression formed by features of various elements mixed together, rather than observing each element’s separate expression. It is true that architectural works are functional whose expression is limited by the purpose of use, budget, construction technique, related laws. However, thank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terial, the expressive methods utilized in architecture design are expanding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nd the changing mood of architecture culture reinforces the perspective which views and consumes architecture as an art. Against this backdrop, Terarosa court provided a meaningful judgment which would contribute to rationalizing copyright protection of architectural works. The remaining job is to further develop criteria for judging creativity of architectural works reflecting genuine characteristics of such type of works. First, assessment of architectural works’ creativity is required to be based on balanced view on the fact that most architectural works have much longer consumption cycle and larger design scale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works. Second,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copyrightable subject, architectural works are emphasized with the users’ spatial experience. Therefore, there is a larger room for finding out creative expression with a dynamic perspective in first person narrative by the viewpoint of ordinary persons. Lastly, the creativity may be found in the combination and arrangement of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as long as they show a minimum level of creativity. Terarosa cas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series of the Supreme Court’s cases on functional works and works of complex nature. By doing so, Terarosa case may serve as a turning point in developing reasonable scope and standards for copyright protection of architectural works.

한국어

‘건축’은 저작권법 제정 당시부터 저작권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 있 었으나 대법원은 건축저작물의 보호에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하였다. 그 주된 원인은 건축저작물이 기능적 저작물이라는 점이었다. 종래 건 축저작물 분쟁의 주류를 이룬 설계도서 사건에서 대법원은 건축 설계 도서가 작성자에 따라 표현상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그 사정만으로는 창작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하여 창작성 인정에 있어 소극적인 판시 형식을 취했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은 ‘테라로사 사건’(대법원 2020. 4. 29. 선고 2019도9601 판결, “대상판결”)에서 건축저작물의 창작성 인정 에 관한 판시 형식을 보다 적극화하였고, 동일한 판시가 이후 설계도 서에 관한 후속 사건에서 원용되게 되었다. 이 글은 대법원이 대상판결에서 미묘한 판시 문구의 변화를 통해 내 비친 건축저작물의 창작성에 관한 대법원의 관점 전환의 조짐과, 그러 한 변화가 향후 건축저작물의 보호에 관해 갖는 시사점을 탐구하였다. 또한 대상판결이 개별 건축요소들의 특징이 함께 어우러져 형성하는 총체적 표현에서 창작성 인정의 근거를 찾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건 축저작물은 주거와 생활을 위한 실용적 목적, 건축재정, 공사기술, 관계 법령 등에 의한 표현의 제약이 수반되는 기능적 저작물이지만, 시공 및 재료 기술의 발달로 표현수단이 양적·질적으로 증대하였고, 건축문 화의 변화로 인해 건축을 예술로서 바라보고 소비하는 관점이 강화되고 있다. 대상판결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건축저작물의 합리적인 보호 에 기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판시를 하였다. 이제 남은 과제는 건축 저작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 창작성 판단 기준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첫째, 건축저작물의 창작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건축물은 다른 저작 물에 비해 소비 주기가 길고 설계의 범위가 넓다는 점을 그 보호가치 와 관련하여 균형 있게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사용자의 공간적 체험 이 중시되는 건축저작물은 일반 소비자를 기준으로 한 1인칭의 동적 관점에서 창작적 표현형식을 더 잘 발견할 수 있다. 셋째, 건축저작물 은 여러 표현요소들의 배열과 조합에서 창작적 개성이 나타날 수 있다 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기능적 저작물 및 복합적 성격의 저작물에 관한 대법원 판례의 흐름 속에서 대상판결의 의의를 살핀다면, 건축저작물의 합리적인 보호범위 와 보호기준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있어 대상판결을 하나의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대상판결 개요
1. 사건 개요 및 하급심 법원의 판단
2. 관련 민사사건
3. 상고심의 판단(대상판결)
Ⅲ. 저작권법상 건축저작물의 보호
1. 건축저작물 보호에 관한 해외 법제
2. 우리나라에서 건축저작물의 보호범위·기준에 관한 논의
3. 건축저작물 보호에 관한 종래 판례의 태도
Ⅳ. 대상판결에 대한 평가 및 전망
1. 대상판결의 의의 - 건축저작물의 창작성 판단 기준 제시
2. 대상판결의 판시 배경 및 전망
3. 향후 과제 - 건축저작물의 특성을 반영한 창작성 판단기준의 구체화
Ⅴ.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류시원 Shiwon Ryu.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법학전문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