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자 연구]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 및 동료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CEO’s Unethical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upervisor and Peer Support

강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EO unethical behavior,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PSS) and perceived peer support(PPS) on employee performance was examined. Also, this study analyzed moderating effect of PSS and PPS on the relation between CEO unethical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CEO unethical behavior has a negative (-)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nd that PSS and PPS have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PS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EO unethical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but PPS had no moderating effec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Korean employees experience anxiety and stress due to CEO's unethical behavior and are negatively affected by hindered goal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ed that such a negative influence from the top leader can be moderated through support and interaction from the direct supervisor.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 but no effect has been found to control the negative impact form CEO's unethic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there is a risk due to unethical behavior of an organization's CEO, emotional support recognized in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a supervisor should be strengthened rather tha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a colleagu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와, 상사지원인식⋅동료지원인식이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완화할 수 있는지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 다. 실증연구 결과,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는 종업원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상사지원인식과 동료지원인식은 종업원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사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있으나 동료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종업원들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목표달성이 방해받는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상위 리더로부터의 부정적 영향력은 직속상사로부터의 지원과 상호작용을 통해 완화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였다. 반면,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은 평소의 직무성과와 직무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지만,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조절 하는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조직의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 로 인한 리스크가 존재할 경우, 동료와의 수평적 관계보다 상사와의 수직적 관계에서 인식하는 감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2.1 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와 종업원 성과
2.2 상사 및 동료지원 인식과 종업원 성과
2.3 상사 및 동료지원 인식의 조절효과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3 연구대상
Ⅳ. 실증연구
4.1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4.2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검증
Ⅴ. 결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희경 Hee-Kyung Kang. 부산대학교 경영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