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cept into a more practical discussion by exploring and analyzing the theoretical basis of student agency. To this end, new childhood sociology,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es, post-structuralism, social cognitive psychology, pragmatism, competency approach, educational sociology, and cognitive constructivism were selected as theories discussing student agency, and dispositional, motivational, positional dimensions of each theor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ent agency is, first, a competency that can be changed rather than a fixed tendency, based on the premise of a student's active tendency. Second, it is a concept that implies students' interest, expectations, and self-regulation in agentic behavior. Third, it is an action or phenomenon that interacts with other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First, policy support for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promote student agency is needed. Seco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the constituent factors of student agency and develop measurement scales. Third, the meaning of student agency and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hould be shared.
한국어
본 연구는 학생 행위주체성의 이론적 기반을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개념을 보 다 실천적 논의로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 행위주체성을 논의하고 있는 이론으로 신 아동기 사회학, 문 화·역사적 접근, 후기 구조주의, 사회인지 심리학, 프래그머티즘, 역량 접근, 교 육 사회학, 인지적 구성주의를 선정하였으며 각 이론에서 개념화한 학생 행위주 체성의 성향, 동기, 지위적 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행위주체성은 첫째, 학생의 능동적인 성향을 전제로 하되 고정 된 성향이라기보다 변화할 수 있는 역량이다. 둘째, 주체적인 행동에 대한 학생 의 흥미, 기대, 자기조절 등의 동기 차원을 내포하는 개념이다. 셋째, 타인 및 주 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행동이나 현상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학생 행위주체 성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 행위주체성 구성 요인을 탐색하고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 행위주체성의 의미와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학생 행위주체성 담론 형성 배경
1. OECD Tohoku School Project
2. OECD Education 2030
Ⅲ. 학생 행위주체성 개념의 선행연구
1. 학생 행위주체성 개념의 이론적 근거
2. 유사 개념과의 구분
Ⅳ. 학생 행위주체성의 세 가지 차원
Ⅴ. 학생 행위주체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신 아동기 사회학
2. 문화·역사적 접근
3. 후기 구조주의
4. 사회인지 심리학
5. 프래그머티즘
6. 역량 접근
7. 교육사회학
8. 인지적 구성주의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