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변적 페미니즘으로 본 SF 현상과 연결됨의 윤리 - 「얼마나 닮았는가」, 「리셋」, 「오래된 협약」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F Phenomenon and the Ethics of Connection from a Speculative Feminist Perspective : Focused on “How Alike Are We,” “Reset”, and “Old Agreement”

연남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 era of science fiction has arrived. The “SF community” formed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was created by the intertwining of SF fandom and feminist-readers’ activism. Therefore, the current “SF syndrome” seems to be a follow-up to the “Kim Ji-young syndrome.” From “liberated readers” to “resisting readers,” those engaging with SF now are “connected readers” with social others. At the same time, recent Korean SF needs to expand its thinking to speculative feminism in that it seeks an alternative reality that women expect through the power of SF devices while putting down the strictness of the genre of orthodox SF. Boyoung Kim’s “How Alike are We” proposes an AI that succeeds in rescuing refugees by being connected to humans through the speculation of conjugation, and goes on to replace the super-intelligent AI that brought about the extinction of mankind. Serang Chung’s “Reset” embodies a woman’s becoming an earthworm-machine-monster through the speculation of trans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otherness is an alternative movement to rebuild the earth against the extinction scenario of the anthropocene. Choyup Kim’s “Old Agreement” tells us the importance of mutual relationships beyond the fantasy of individualism through the speculation of sympoiesis. Since the SF phenomenon is caused by readers who are accustomed to connected senses, the works read and written by the SF community contemplate how to relate and become together through the speculation of connection, transformation, and sympoiesis, seeking a better future.

한국어

한국문학사 최초로 SF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현재 한국문학장에 형성된 ‘SF 공동체’는 SF 팬덤과 페미니스트-독자들의 행위성이 맞물려 이루어졌다. 따라서 지금의 ‘SF 현상’은 김지영 현상을 잇는 후속 흐름으로 보이며, ‘해방된 독자’에서 ‘저항하는 독자’를 거쳐 이번에 SF를 손에 쥔 이들은 사 회적 타자와 ‘연결된 독자’들이다. 동시에 최근 한국의 SF는 정통 SF의 장 르적 엄정성을 내려놓는 한편, SF 장치의 힘을 통해 여성이 기대하는 대안 적 현실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사변적 페미니즘으로 확장하여 사고할 필 요가 있다.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는 접합의 사변을 통해 인간과 연결됨으로 써 난민들을 구조하는 AI를 재발명하여 인류 절멸을 가져오는 초지능 AI 플롯을 대신한다. 정세랑의 「리셋」은 변신의 사변을 통해 여성의 지렁이- 기계-괴물-되기를 구현한다. 이때 타자성의 연결은 인류세의 멸종 시나리오에 맞서 지구를 재건하려는 대안적인 움직임이다. 김초엽의 「오래된 협약」은 공생의 사변을 통해 개체주의의 환상에서 벗어나 상호 관계 맺기가 중요함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사변적 페미니즘은 관계성을 생산하고 유 연한 사고를 제공하기에, 지금-여기, 인간중심주의와 자연-문화가 타자화 한 비인간 존재자들을 향한 대안적 사유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현재의 SF 현상은 연결되어 있는 감각에 익숙한 독자들에 의한 것이기에, SF 공동체 가 읽고 쓰는 작품은 접합과 변신과 공생의 사변을 통해 어떻게 관계 맺 고 함께-될 것인가를 사유하며, 더 나은 미래를 모색한다.

목차

<국문개요>
1. SF 현상과 사변적 페미니즘
2. 접합의 사변과 신체화를 통한 창발: AI의 재발명(revisioning)
3. 변신의 사변과 지렁이-되기: 타자성 연결을 통한 문명의 재건
4. 공생의 사변과 응답-능력: 지구 생태계와 얽힌 삶의 각성
5. 개체주의의 환상과 ‘함께-됨’의 미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연남경 Yeon, Namkyung.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