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김동명 시의 환대의 주체와 초월의 정치학 ― 『나의 거문고』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The Subject of Hospitality and the Politics of Transcendence in Kim Dong-myeong’s Poetry ― Regarding of 『My Geomungo』

국원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revealed the political meaning of freedom and love in Kim Dong-myeong’s first collection of poetry, My Geomungo. Even in the poor situation of the 1920s, he created poems, dreaming of freedom and love to escape from the colonial reality. The freedom he pursued was that of a subject who stood alone in the inhuman reality of mere existence, and the love he pursued was that of the subjects of hospitality who can welcome and accept others. However, in Kim Dong-myeong’s view, the people in the 1920s were in an inhuman situation of just being helpless due to the worldwide Great Depression and colonial exploitation. In addition, while Japanese imperialism identified the people with capitalistic selfishness, it was totalizing the people of Joseon with Confucian identity. Unlike the reality of the 1920s, Kim Dong-myeong’s hometown, Gangneung, was a communal space where the people could enjoy an independent life. The writer, who was longing for others in his hometown as a child, wrote poems about the disappearance of such humane communities and community leaders due to Japanese colonization. Even in this situation, Kim Dong-myeong found the subject of hospitality within the colonial order. However, he recognized that a new democratic world different from the existing world should be created in order to escape from the colonial reality. So, he saw the need for an independence war like that of the United States, and emphasized in poetry that in order to wage a war of independence, it was necessary to produce the subjects of hospitality through solidarity with women.

한국어

이 글은 김동명의 첫 시집 『나의 거문고』에 나타나는 자유와 사랑의 정치적 의미를 밝혔다. 이 시집은 1920년대 일제 식민지 시기 민중들이 3․1운동의 정 치적 좌절과 전 세계적 대공황으로 인해 경제난을 경험했던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열악한 정세 속에서도 그는 식민지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유와 사랑을 꿈꾸는 시를 창작했다. 그가 추구한 자유는 그저 있음의 비인간적 현실 에서 홀로서기를 한 주체가 누리는 자유였고, 그가 추구한 사랑은 식민지적인 동일성의 세계와 자기 집, 그리고 자기에서 초월하여 타자들을 맞아들이고 받아들일 수 있는 환대의 주체들에게서 나오는 사랑이었다. 그러나 김동명이 보기에 1920년대 식민지 현실에서 민중들은 전 세계적 대 공황과 식민지 수탈로 열악한 집에서 무기력하게 거주하고 있는 그저 있음의 비인간적인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일제가 민중들을 자본주의적인 이기심으로 동 일화하는 한편, 제2의 3ㆍ1운동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조선 민중들을 유교적 동 일성으로 전체화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 김동명에게 고향 강릉은 1920년대 식민지적 현실과 달리 민중들이 주 체적인 삶을 향유 할 수 있었던 공동체적인 공간이었다. 그에게 고향 강릉은 공 동체의 구성원들이 자아의 단일성을 유지하면서도 엄격한 체계를 이루지 않는 다수성들을 이루는 무정부적인 공동체였다. 김동명은 어린 시절 고향의 타자들 을 욕망하면서, 일제의 식민화로 인해 그런 인간적인 공동체와 공동체의 리더들 이 사라졌음을 시화하고 있다. 이런 정세 속에서도 김동명은 식민지 질서에서 배제되었던 일본의 여성들이 나 조선의 농민이나 어민들에게서 환대의 주체를 발견하였다. 하지만 그는 식민 지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세계와는 다른 새로운 민주적인 세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인식했다. 그래서 그는 온갖 타자들을 환대하여서 독립을 이룬 미국과 같이 홀로서기를 위한 독립 전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는 조선이 독 립 전쟁을 하기 위해서는 여성들과의 연대를 통해서 환대의 주체들을 생산해야 함을 시로 역설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그저 있음의 식민지 현실과 유교적 동일성으로의 전체화
3. 고향에 대한 향수와 볼 수 없는 타자들을 향한 욕망
4. 환대의 주체들과 홀로서기를 통한 시작(始作)의 자유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국원호 Kook, Won-Ho. 강원대학교 삼척교양교육센터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