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ime and space of diaspora and perception of the Orient shown in Heo Su-kyeong’s poetry. ‘Space’ takes up an important position in Heo Su-kyeong’s poetry. The journey of life from her hometown Jinju to Seoul and Germany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spatiality of Heo Su-kyeong’s poetry. And this leads to poetic thinking based on diaspora. Moreover, Heo Su-kyeong’s diaspora presents the perception of the Orient in the viewpoint of Orientalism through her experiences in archeological sites such as Syria, Iraq, Turkey, and Egypt. Before modern times, the Orient was not the concept that only meant Asian region like the Near East, Middle East, and Far East from the West. At that time, the Orient was derogated as the world of barbarism and non-civilization as a contrasting concept that meant the region except the West. In this aspect, Heo Su-kyeong’s poetry is attention and affection for the non-mainstream and others. The space in Heo Su-kyeong’s poetry does not represent only the place. Nor does it simply mean the experience of residing abroad. The poetic space shown in Heo Su-kyeong’s poetry is expanded to the global perception through diaspora and Orientalism. Even though diaspora is originated from her own life, it is expanded to social problems without remaining as personal experience. The problems like refuge and war, which were frequently mentioned as the tragedy of Heo Su-kyeong’s poetry, are the examples that fully show the tragedy of diaspora. Also, the aimlessness of diaspora shown in modern people’s lives is a principal subject of poetry. At that point, the people who experience diaspora are placed in the position of others. Otherness is a concept shown in connection with Orientalism. In Heo Su-kyeong’s poetry, the West does not appear as a ruler of the Orient. However, the Oriental history, time, life, and world shown in excavation sites are the things that have disappeared or lost in the world history reorganized focusing on the West. It is connected to the global perception of Orientalism. Also, the issue of diaspora presented through refuge is not unrelated to Orientalism. Generally, this perception of the Orient has been naturally fixed in the flow of the West-centered world view. In this circumstance, the Orient was excluded from the world history. Heo Su-kyeong’s poetry presents the tragedy of Orientalism through the look of the Orient like this. In this aspect, diaspora and Orientalism shown in Heo Su-kyeong’s poetry have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poet does not perceive the Orient and West as the contrasting world but makes efforts to recall the place and people who got hurt and forgotten. Through this process, she aims to present the tragedy of Orientalism and diaspora, and also to delicately capture the grief of otherness.
한국어
본 연구는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시공간과 동양 인식을 파악하고자 했다. 허수경의 시에서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향 진주로부터 서울, 독일 등으로 이어지는 삶의 여정은 허수경 시의 공간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 며 시 세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것은 디아스포라를 근간으로 한 시적 사유로 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는 고고학 발굴 현장인 시리아, 이라크, 터키, 이집트 등에서의 체험을 통해 세계사 속 동양의 역사와 위치를 현재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또한 오리엔탈리즘의 시선 속에 타자로 남은, 동양 에 대한 현실 인식을 떠올리게 한다. 허수경 시의 공간은 장소만을 표상하지 않는다. 허수경의 시는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타자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며 세계 인식을 확장한다. 시인 의 삶으로부터 비롯된 디아스포라는 개인적 체험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확장된다. 허수경 시의 비극성으로 언급되는 전쟁과 난민의 문제는 디아스포라 의 비극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현대인의 삶에 나타난 디아스포 라의 정처 없음과 타자성 역시 허수경 시의 주요한 소재이다. 이때 타자성은 오리엔탈리즘과 연관된 개념이기도 하다. 발굴 현장에서 마주 하게 되는 동양의 역사와 시간, 삶과 세계는 서양 중심으로 재편된 역사 속에 과거의 영광을 상실하고 말았다. 동양의 역사는 오리엔탈리즘의 가운데 열등한 세계로 폄훼되었다. 허수경 시인이 응시하고 있는 발굴 현장 역시 오늘날 오리 엔탈리즘의 관점에서 퇴락한 역사일 뿐이다. 허수경 시에 재현된 오리엔탈리즘 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된다. 또한 난민을 통해 제시된 디아스포라의 문 제 역시 오리엔탈리즘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긴밀한 관계 에 놓인다.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타자로 남은 이들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근간으로 한다. 그러나 시인은 동· 서양을 대립된 세계로 인식하 지 않는다. 허수경은 과거와 현대의 비극을 동시에 아우르고 있는데, 비극적 시 공간을 초월하는 방식으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의 문제를 작품화한다. 그리하여 그는 타자성의 비애를 정치하게 포착해내며 타자와 같은 세계에 남으려 한다.
목차
1. 서론
2. 디아스포라의 시공간과 타자성
3. 오리엔탈리즘과 세계 인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