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globalization and children’s education advocated by the Kim Jong-un regime by analyzing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in elementary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North Korea. To this end, by analyzing the translation situation and the contents of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n textbooks, we t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derive implications from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North Korea,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was introduced in the 1950s and 1960s by scholars and writers participating as translators in publishers targeting different age groups, but it disappeared as Kim Il-sung’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was established, and was introduced again in the early 1980s. As a result of changes under the 2013 Education Code,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is actively introduced in North Korean textbooks. The research scope of this article is children’s literature corresponding to Western translation literature in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and elementary middle schools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2013 Education Code of North Korea.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n textbooks is evaluated based on socialist literature and art, but it is composed of works that conform to the universal sentiment of the world. The sanctions are Aesop’s fables, Andersen’s fairy tales, and Anne’s diaries which can be handled together in North and South Koreas, and affect the emotional, cognitive, and ethical aspects of North Korean children. Under the Kim Jong-un regime, the intention to break away from closedness and conform to the global universality is suggested by expanding the introduction of foreign literature. Western children’s literature in textbooks mainly appears in the form of narrative style, and as learning goals,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and the pride of the North Korean regime. arousal, etc. Nort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emphasizes the aspect of ideological education to nurture people suitable for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but translation literature presents the subjects somewhat flexibly.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Western translation literature in North Korean textbooks.
한국어
이 글은 북한의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체제에서 표방한 세계화 양상과 아동교육의 결합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북한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의 번역상황과 단원 내용을 분석하여 북한 아동문학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구 아동문학 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북한에서는 서구아동문학이 1960년대에 연령별 대상으로 하는 출판사에서 학자, 문인들이 번역자로 참여하여 소개되었으나 김일성 유일지도 체계가 확립되면서 사라지다가 1980년대 초부터 다시 소개된다. 2013년 교육강령에 따른 변화로 서구 아동문학이 북한 교과서에 활발하게 소개된다. 이 글의 연구 범위는 북한의 2013년 교육강령에 따라 개정된 소학교와 초급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실린 서구 번역문학에 해당되는 아동문학이다. 북한 교과 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은 사회주의적 문학예술을 기준으로 평가받으면서도 세계 보편적인 정서에 부합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제재는 남북 공통으 로 다룰 수 있는 이솝 우화나 안데르센 동화, 안네 일기 등이며 북한 아동들의 정서적, 인지적, 윤리적 측면에 영향을 끼친다. 김정은 체제에서는 외국 문학작품 확대 소개로 폐쇄성에서 벗어나 세계적 보 편성에 맞추려는 의도가 제시되는데 교과서에 실린 서구 아동문학은 서사 갈래 가 주된 형태로 나타나고 학습목표로 북한 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과 북한 정권에 대한 긍지 고취 등이 나타난다. 북한 문학교육은 북한 식 사회주의 체제 에 적합한 인물을 양성하기 위한 사상교양의 측면을 강조하지만 번역문학은 다 소 유연하게 주제를 제시한다. 이 글은 북한 교과서에 실린 서구 번역문학 텍스 트 분석을 통해 남북 아동문학의 소통과 문학교육의 통합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북한의 외국문학으로서 서구 아동문학 번역과 인식
3. 2013 교육강령에 따른 교과서 서구 아동문학 교육 양상
1) 서구 아동문학 게재 현황
2) 제재에 따른 학습 단계 및 내용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