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창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주거구조와 권역별 양상

원문정보

Proto-Three Kingdoms~Three Kingdoms Period Residential Structure and Regional Patterns in Gochang Area

김일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welling is a building for the purpose of residence, and is a space where daily activities are performed and traces of life are express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a basic data that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flow of the growth and extinction of Mahan and Baekje. So far, studies have tended to look at the Honam or Hoseo regions together. However, since the era of the Proto-Three Kingdoms was a political system of small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by region. Therefore, the living conditions and aspects of each reg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size of the residential, Pillar arrangement, four pillars in area of the Gochang area, which corresponds to the Morobiri country among many small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ze of the residential, Pillar arrangement, four pillars in area within the key hole show differences by region. These differences were judged as functional differences in each region, and the aspects of each reg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tomb sites. The settlements in the western region are concentrated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and the tombs are concentrated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Indigenous earthenware from Mahan, Sueki, and Gaya are excavated, suggesting negotiations with various regions. In the southeastern region, tombs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and villages in the 5th and 6th centuries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indigenous pottery, Sueki pottery, and Gaya pottery, as well as Hanseong-style pottery and household items were excavated. This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various regions such as Baekje and Japan.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southeast region is the dominant group in the Gochang region. Unlike other regions, the northern region seems to have accepted Baekje cultural artifacts quickly because Baekje marker artifacts were excavated and geographically close to the territory of Baekje.

한국어

주거지는 거주를 목적으로 하는 건축물로서 일상적인 행위가 이루어짐과 동시 에 생활흔적이 표현되는 공간이며, 마한과 백제의 성장과 소멸이라는 역사적인 흐 름에 부합되는 기초자료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호남 또는 호서지역을 묶어 살펴보 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원삼국시대는 소국단위의 정치체임으로 단위 지역별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러 소국 중 모로비리국에 해당하는 고창지역의 주거지 를 규모, 주공배치, 사주공 내 면적 등을 통해 권역별로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주거지의 규모, 주공배치, 사주공 내 면적 등이 권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각 권역별로 생활상의 차이로 판단하며, 주변 분묘유적들의 성격들을 통해 권역별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부권역의 취락은 3~4세기대, 분묘는 5~6세기대에 집중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마한계 토착토기와 스에키계, 가야계 토기들이 출토되고 있어 여러 지역과의 교섭 을 시사한다. 동남부권역은 3~4세기대는 분묘, 5~6세기대는 취락이 집중된다. 특히 토착토기와 스에키계, 가야계 토기들과 더불어 한성양식토기, 위세품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는 백제, 일본 등 다양한 지역들과 밀접한 관계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동남부권역이 고창지역의 유력 집단으로 추정된다. 북부권역은 다른 권역과 달리 백제 표지유물들이 출토되고 백제의 영역과 지리적으로 근접하여 백제문물들을 빠르게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주거지 조사현황
3. 주거구조 분석
4. 권역별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일중 Kim, Il-Jung. (재)울산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