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o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Clinical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서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on proactivity of problem-solving, clinical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with a quasi-experimental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retest-posttest survey among third graders in nursing who took a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class at S university in D city, and finally, data from 78 students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30, 2022 to October 28, 2022,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program.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based delivery nursing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by significantly increasing on problem-solving proactivit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eam efficacy.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study results. therefore based on a sufficient number of samples, the effects should be verified through randomized controlled pre-and post-tes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effects are consistent, it will be necessary to follow up in the long term.

한국어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미치는 효 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D시에 소재한 S대학의 간호대학생 3학년을 대상으로 시뮬레이 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을 운영하였으며, 사전·사후 설문에 응답한 7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30일부 터 2022년 10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기 반 분만간호 실습은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의 적극성, 임상수행능력, 팀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에게 임상 현장 사례를 기반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한다면 임상에서 요구하는 핵심 능력 및 교 육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충분한 표본 수의 무 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 효과의 지속성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ㅤ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2.5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
2.6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시뮬레이션기반 분만간호 실습의 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서은희 Eun Hee Seo.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