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헬스케어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메타포 분석

원문정보

A Metaphor Analysis on the Learning-Centered Class of Pre-Servic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김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that pre-servic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tach to learning-centered teaching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the application of learning-centered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express the perception of learning-centered teaching in metaphors.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metaphor classification, determining the unit of analysis, and categorisation of the sample according to the metaphor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ur major categories of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eacher education and roles, and eight content types were derived: lessons for self-actualisation, lessons for preparing for future society, lessons that foster creativity, open and diverse lessons, lessons that stimulate curiosity and interest, lessons that are suitable for individu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lessons that are burdensome to implement, and lessons that require teacher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earning-centered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중등 예비체육교사들이 배움중심수업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메타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체 육수업 중 배움중심수업의 적용에 대하여 인식을 점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배움중심수업 에 대한 인식을 메타포로 표현하는 설문 조사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메타포 분석방벙론에 따라 코딩, 메타포 분류, 분석 단위 결정, 표본의 범주화 등의 과정을 통해 처리되었다. 그 결과 교육의 필요성, 교육의 목표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 가, 교사 교육 및 역할이라는 4개의 대분류와 자아실현을 위한 수업, 미래 사회 준비를 위한 수업, 창의성을 기르는 수업, 개 방적이고 다양한 수업, 호기심 자극 및 흥미 유발 수업, 개인의 발달 및 특성에 적합한 수업, 실천하기 부담스러운 수업, 교사 의 창의성과 독창성이 필요한 수업의 8개 내용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배움중심수업의 필요성 및 방향 에 대해 그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ㅤ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2.2 자료 수집
2.3 자료 분석
3. 결과 및 논의
3.1 교육의 필요성
3.2 교육의 목표 및 내용
3.3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3.4 교사 교육 및 역할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승용 Seung-Yong Kim. 동서울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