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헬스케어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시민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정체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Civic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on Happiness in Adolescent :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sision

장각자, 김나연, 김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happiness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civic consciousness, career identity and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Data analysis used data from the ‘2020 Generation Z Teenage Values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mong the survey subjects, 2,959 out of 3,037 high school students who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luding missing, were sampl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The analysis method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Bayron and Kenny’s analysis method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applied Sobel test techniques to analyze indirect effects and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high school students’ sense of community and citizenship increased their happiness. Second, career ident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happiness. Third, it show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hip and happiness. Based on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and practical programs to promote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한국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 시민의식, 진로정체성과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여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Z세 대 10대 청소년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고등학생 3,037명 중 결측을 제 외한 2,959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베이런과 케니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Sobel test 기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와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시민의식이 행복감을 높여주었다. 둘째, 공동체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시민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성의 부분 매개효과를 보 여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를 갖는다.

목차

요약ㅤ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2 조사대상자 및 자료수집
2.3 측정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3.3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3.4 매개효과 검증
3.5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각자 Kak-Ja Jang. 한세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연구원
  • 김나연 Na-Yeon Kim. 온세미로 심리상담연구소
  • 김미현 Mi-Hyun Kim. 카페밴트 심리상담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