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Social Art Focusing on the Need for Categoriz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tegorize not only activities in institutional space but also field activities in life and various art activities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 solving into social art, and to find historical grounds and continuity accordingly. To this end, the historical context of French social art, which first began discussing social art in the 19th century, was examined, and based on this, the definition and nature of social art were summarized by finding continuity after the mid-20th century. French social art practiced the role of art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civil society after the French Revolution, but it was no longer used after the Third Republic. Since then, questions and critical reflections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art have continued, although contemporary art did not advocate social art nor consciously connect French social art. And as a result, it is believed that a different type from elite art was formed. In particular, in the 21st century,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point of continuity by confirming active social art movements in Quebec, Canada, and the Korean situation was viewed in this context.
한국어
본 논문은 사회변화를 위한 예술이라는 명제 속에서 제도 공간 내 활동만이 아니라 삶의 현장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응하는 예술 활동을 소셜 아트로 범주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이에 따른 역사적 근거와 연속성을 찾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19세기에 최초로 소셜 아트 논의를 시작한 프랑스 소셜 아트의 역사적 맥락을 살피 고, 이에 기반하여 20세기 중반 이후의 연속성을 찾아 소셜 아트의 정의와 성격을 정리하였다. 프랑스 소셜 아트는 프랑스대혁명 이후 시민사회 출현에 따라 그에 걸맞는 국가 재건에 예술의 역할을 실천한 것이지만, 제3공화국 이후 그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현대예술에서는 소셜 아트를 표방하거나 프랑스 소셜 아트를 의식적으로 이어낸 것은 아니지만, 예술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질문과 비판적 성찰은 지속되었으며, 이로 인해 엘리트 예술의 유 형과는 다른 유형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특히 21세기 들어 캐나다 퀘벡지역에서 활발한 소셜 아트 움직임을 확인하 면서 연속성의 지점을 새롭게 찾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적 상황을 조망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소셜 아트의 역사적 배경 및 전개
1. 프랑스 19세기 전반에서 제2제국(1852-1870)까지의 논의
2. 프랑스 제3공화국(1870-1940) 시기의 논의
Ⅲ. 20세기 중반 이후 소셜 아트의 양상
1. 프랑스 소셜 아트의 쟁점과 그 이후 양상
2. 20세기 중반 이후 소셜 아트의 연속성
3. 21세기 소셜 아트의 정의와 쟁점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