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사법적 시각에서 건축부지를 둘러싼 저당권과 상사유치권의 관계에 관한 재해석

원문정보

Re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tgage and the commercial lien surrounding the building site from the perspective of civil law

이찬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commercial lien and civil lie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experience as a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In the past, problems based on this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d not occur, but recently, some problems have been mass-produc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commercial lien and civil lien. The main problem is that if there is a mortgage on the building site or site, civil lien cannot be claimed. Recently, it is a topic that can be claimed as commercial lien on the same issue. This is because the commercial lien does not require affiliation with the building site or site among its establishment conditions, so it is possible to argue that a commercial lien can be established for the building site or sit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time has come to review the reasonable position of the commercial lien in relation to the mortgage. Domestic and Japanese theories and precedents regarding the status of commercial lien,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mortgage in the building site or site, were reviewed. As a result, the opposition theory was judged to be a little more reasonable than other legal principles, and the following main issu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opposition theory. In the issue of the rational status of the commercial lien according to the opposition theory, the items to be reviewed are: First, if there is a mortgage on the land, it is reasonable to apply the position of the rivalry theory to the reasonable status of the commercial lien. In case of following the theory of opposition, in principle, the relevant commercial lien cannot be opposed against the mortgagee of the preceding site, so it is extinguished by the meridian of the object of retention, and the effect of preferential payment cannot be asserted. Second, if there is a mortgage in the building site, if it is proved that the contractor has invested in the value increase of the object and the value of the object has increased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 commercial lien for this increase in value. However,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 commercial lien for the cost of the commercial lien,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value of the relevant object exists through appraisal, etc. for the cost incurred by the commercial lien holder. In terms of comparative law, this is reasonable when examining the legal principles of Germany, Switzerland,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Austria. Matters to be reviewed on the rational status of commercial lien rights through review of Supreme Court precedents are: It is reasonable that the lienholder cannot oppose the mortgagee. In addition, in the above situation, even if a mortgage is established afte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nstruction work has been completed, if the opposition theory is applied, it is reasonable to compare the time when the relevant mortgage was established and the time when the commercial lienholder occupied it in chronological order. As such, the legal theory of the opposition theory is reasonable because it can harmonize the positions of many parties, such as mortgage holders and commercial lien holders, in a balanced way in various procedures for construction work against the site. Second, the rational position of the commercial lien on the mortgage was reviewed by comparing the mecanic's lien system with the counter-relationship theory. As a result, it is reasonable to examine the position of commercial lien on the mortgage in the land by comparing the ‘time of registration’ of the mortgage and the ‘time of commencement of possession’ of the commercial lien, not the ‘time of construction start’ of the commercial lien in chronological order. Third, in case the commercial lien cannot be opposed to the mortgage in the case of commercial lien, the legal principle of extinction theory that the commercial lien disappears altogether is not valid. This i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denying the legitimat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owner, who is the debtor, and the commercial lien holder, and the general trend and property effect of the commercial lien can be completely denied, and it is contrary to many domestic and Japanese precedents. Fourth,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5da22688) overlooked the difference between civil lien and commercial lien on buildings and land, so it is reasonable to review the difference in status between civil and commercial lien when focusing on land.

한국어

상사유치권과 민사유치권은 여러 차이가 있으며 성립 요건상 견련성에 있어서는 명확한 차이 가 있다. 과거에는 양자의 이러한 차이에 기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상사유치 권과 민사유치권 간 견련성 요구 여부 차이를 근거로 몇몇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 그 주요 문제 로는 건축부지에 있어 저당권이 있는 경우 민사유치권을 주장할 수 없게 되는바, 최근에는 동일 사안에 대해 상사유치권으로 주장할 수 있게 되는 논제이다. 상사유치권은 그 성립요건 중 건축 부지와의 견련성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건축부지를 대상으로 상사유치권이 성립할 수 있는 입론 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부지에 있어 상사유치권의 합리적 지위를 저당권과의 관계 속에서 검토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건축부지에 있어 저당권과의 관계를 포함하여 상사유치권의 지위에 관한 국내와 일본의 학설 및 판례를 검토하였는바, 다른 법리보다 대항관계설이 조금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 하 주요 논제를 대항관계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대항관계설에 따른 저당권과 상사유치권 관계의 재해석 논제에 있어서 검토사항은 첫째, 건축부 지에 있어 저당권이 있는 경우 상사유치권의 지위는 대항관계설의 입장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 다. 대항관계설을 따를 경우 원칙적으로 상사유치권은 선행하고 있는 건축부지의 저당권자를 대상으로는 대항할 수 없으므로 유치목적물의 경락에 의하여 소멸하게 되고 우선변제적 효력도 주장하지 못한다. 둘째, 건축부지에 있어 저당권이 있는 경우 수급인이 해당 목적물의 가치증가에 투입하였던 비용이 있고 이에 따라 목적물의 가치가 증가하였다는 것이 증명될 경우에는 이러한 가치증가분에 대해서는 상사유치권을 인정해주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만, 상사유치권자가 들인 비용에 대하여 감정 평가 등을 통해 해당 목적물의 가치가 현존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그러한 경우 상사유치권의 비용에 대해 상사유치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비교법적으로도 독일, 스위스, 미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의 법리를 검토할 경우 이는 합리적이다. 대항관계설을 중심으로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저당권과 상사유치권의 합리적 지위 재해석 논제에 관한 검토사항은 첫째, 대법원 판결 동향을 통한 상사유치권의 지위에 있어 구체적으로 는 저당권설정 시기가 상사유치권의 점유 시기보다 이른 시기에 완료되었다면, 상사유치권자는 저당권자를 상대로 대항할 수 없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위 상황에서 해당 공사가 상당 부분 진행이 된 후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에도 대항관계설을 적용할 경우 해당 저당권이 설정된 시기와 상사유치권자의 점유 시기를 시간 순으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처럼 대항관계설 법리는 건축부지를 상대로 공사가 진행되는 여러 절차에 있어 저당권자, 상사유치권 자 등 많은 당사자들의 입장을 균형 있게 조화시켜줄 수 있으므로 타당하다. 둘째, 미캐닉스 리엔(mechanic’s lien, 부동산공사의 선취특권) 제도를 대항관계설과의 비교를 통해 저당권에 관 한 상사유치권의 합리적 지위를 검토할 경우 저당권의 ‘등기 시기’와 상사유치권의 ‘공사개시 시기’가 아닌 ‘점유개시 시기’를 시간순으로 비교하여 건축부지에 있어 저당권에 관한 상사유치 권의 지위를 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셋째, 판례 중 상사유치권에 있어 저당권에 대항할 수 없는 경우 그 상사유치권은 아예 소멸한다는 소멸론 법리는 타당하지 않다. 채무자인 소유자와 상사유치권자 간 정당한 계약관계를 부정할 소지가 있고, 상사유치권의 대세적 및 물권적 효력 을 전면 부정할 수 있으며, 다수 국내 및 일본 판례에도 반하기 때문이다. 넷째, 대법원 판결 (2005다22688)은 건물과 건축부지에서의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 간 차이를 간과하였는바, 건 축부지에 집중할 경우 민사유치권과 상사유치권의 지위상 차이를 검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건축부지에 있어서 저당권과 상사유치권의 지위에 관한 학설 및 판례
Ⅲ. 대항관계설에 따른 저당권과 상사유치권 관계의 재해석
Ⅳ. 대항관계설을 중심으로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저당권과 상사유치권의 합리적 지위 재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찬양 Lee Chanyang.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전임연구원,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