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chronology of ancient tombs in Indong area, Gumi,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and regional style setting of the mounted cup excavated in the Indong area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irst,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Indong area in Gumi was organized, and the chronology of ancient tombs in the Indong area was organized from the mid-4th century to the pre-6th century, focusing on Hwangsang-dong Ancient Tombs, Okgye-dong Ancient Tombs, and Gupo-dong Ancient Sites. Since the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mounted cup excavated from tombs in the mid to late 5th century, and how to classify the mounted cup in Indong area,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and whether "local style" based on locality can be set. As a result, the mounted cup excavated in the Indong area was distinguished from the Gyeongju-style mounted cup based on the overall height and size of the cup, and the production area was found to be the Indong area in Gumi. However, it was judged that it was too much to set up the "Gumi Indong Style" because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mounted cup produced in the Indong area were also commonly identified in ancient tombs excavated in Seongju, Waegwan, and Chilgok around the same period.
한국어
● ○ 본고는 구미 인동지역 고분의 편년을 검토하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구미 인동지역에서 출토된 이단투창고배의 성격과 분류, 지역양식 설정의 가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먼저 구미 인동지역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였고, 황상동고분군, 옥계동고분군, 구포동유적 등을 중심으로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부터 6세기 전엽에 이르는 시기까지 인동지역 고분의 편년을 정리하였다. 이후 5세기 중, 후엽에 해당하는 고분에서 출토된 이단투창고배를 중심으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미 인동지역 이단투창고배는 어떻게 분류되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 더불어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 ‘지역양식’ 등을 설정할 수 있을지 등을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구미 인동지역 이단투창고배는 전체적인 기고 및 배신의 크기 등을 기준으로 경주양식 이단투창고배와 구분되었고, 産地는 구미 인동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미 인동지역産 고배에서 보이는 특징들은 동시기 주변의 낙동강 중상류역에 위치한 성주, 왜관, 칠곡지역 고분 출토품에서도 공통적으로 확인되기에 ‘구미 인동양식’을 설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인동지역 고분군 조사개요 및 연구사
1. 황상동고분군
2. 옥계동고분군분군
3. 구포동 유적
4. 연구사
Ⅲ. 출토유물을 통한 고분의 편년
1. 4세기 말엽
2. 5세기 초엽
3. 5세기 전엽
4. 5세기 중엽
5. 5세기 후엽
6. 5세기 말엽
7. 6세기 초·전엽
Ⅳ. 이단투창고배를 통한 토기양식의 검토
1. 5세기 중엽
2. 5세기 후엽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