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musicals registered in domestic universities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23 and to present the research directions necessar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usical market. From May 20, 2023 to May 27, 2023, 629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electronic list of the National Assembly's electronic library and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of the Korea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 and analyzed Research trends based on researcher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usical-related research was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ure art,” “performance art and management,” “education,” and “other majors,” but the number of papers has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2020. Second, by research topic, 463 studies in the fields of “work analysis and theory,” “consumer marketing,” and “expert training” directly related to musicals accounted for about two-thirds, and 166 studi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other topic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musicals accounted for about one-third. In particular, research on ‘music, dance, and acting’ in musical in the field of “work analysis and theory,” research on audience ‘watch intention and satisfaction’ in the field of “consumer marketing,” and research on actors’ ‘vocalization and physical training’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training“ were the most important. Third,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case analysis accounted for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Musicals, which have continued to grow as a popular performing art since the early 2000s, have not only recently suffered a sharp contrac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ut are also facing a crisis in which they must diagnose structural limitations and find futur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musical-related research and markets through analysis of trends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s more practical and future-oriented follow-up research that can help the development and market expansion of musical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2013년 08월-2023년 02월에 걸쳐 국내 대학에 등재된 뮤지컬 관련 석·박사학위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뮤지컬 시장의 발전에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논문은 2023년 05월 20일-2023년 05월 27일에 걸쳐 국회전자도서관의 전자목록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연구자의 전공 및 연구주제와는 무관하게 논문 제목에 “뮤지컬”이라는 단 어를 포함하는 기준으로 629편을 선정하였고,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자 특성, 연구연도, 연구주제, 연구방 법 등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뮤지컬 관련 연구는 “순수 예술”, “공연예술·경영”, “교육”, “기타 전공”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졌으나 2020년부터는 논문 편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추 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별로는 뮤지컬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작품분석·이론”, “소비자 마케팅”, “전문가 양성” 분야에서의 연구가 463편으로 약 2/3를, 뮤지컬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초·중등교 육”과 “기타 주제” 분야에서의 연구가 166편으로 약 1/3을 차지하였다. 특히 “작품분석·이론” 분야에서는 뮤지컬에서의 ‘음악·춤·연기’에 대한 연구가, “소비자 마케팅” 분야에서는 관객들의 ‘관람의도·만족도’ 에 대한 연구가, 그리고 “전문가 양성” 분야에서는 배우들의 ‘발성·신체훈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사례 분석에 의한 질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문헌 연구,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많았다. 국내 뮤지컬은 2000년대 초기부터 대중적인 공연예술로 자리 잡으면서 꾸준히 성장해 왔으나 최근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어려운 상황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 고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뮤지컬이 갖는 구조적인 한계를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찾아야 하는 위기의 시기를 맞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컬 관련 연구 및 시장의 발전 방향을 찾는데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향후 뮤지컬의 발전과 시장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더 실질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제언한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과제 및 제한점
Ⅱ. 연구방법 및 절차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2. 분석 기준
2.3. 자료처리
Ⅲ. 분석 결과 및 논의
3.1. 연구자 동향 분석
3.2. 연구연도별 동향 분석
3.3. 연구주제 동향 분석
3.4. 연구연도별 연구주제 동향 분석
3.5. 연구방법 동향 분석
3.6. 연구주제별 연구방법 동향 분석
Ⅳ. 결론
4.1. 연구 결과 및 논의
4.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