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RE가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 of TRE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Single Case Study

조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TRE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women in her mid-50s, who is professional a instructor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The TRE period was from January 6 to March 25, 2021, and TRE was conducted twice a week (24 times in total: including 8 times conducted by the client herself). The effect of TRE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In addition, the situation was checked with simple interviews in each sess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third, second, and third lines based on the entire session, and the contents were recorded with a voice recorder.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Quality of Life Scale was calculated using th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18.0 according to the area-specific calculation formula, and the interview was repeatedly listened to and extracted key contents. As a result of their analysis, overall quality of life and six subdomains (physical domain, psychological domain, independence domain, social domain, environmental domain, and spiritual domain) showed improved results after TRE compared to before TRE. In addition, effects such as relief of anxiety complained of at the beginning of the session, transition from insomnia to sound sleep, enhancement of life vitality from lethargy, improvement from indigestion to well digested, menopausal symptoms and pain relief, and relief from anxiety about death were reported.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RE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Moreover, TRE is a very excellent and useful self-healing method that can be used well for a lifetime once lear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information to middle-aged women and those interested in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TRE가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50대 중반의 중년여성으로 인성교육관련 전문 강사이다. TRE실시 기간은 2021년 1월 6일부터 3월 25일까지이며, 매주 2회(총24회: 연구자의 요구로 내담자 스스로 한 8회 포함)의 TRE를 실시했다. TRE가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여부는 한국판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활용하여 TRE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매회기 간단한 인터뷰로 상황을 체크하였고, 전체 회기를 기준으로 1/3선, 2/3선, 3/3선에서 심층 인터뷰를 하였으며, 그 내용은 보이스리코더로 기록하였다. 한국판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는 영역별 계산 공식에 따라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활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은 반복적으로 들으며 핵심 내용을 추출했다. 이들의 분석 결과 TRE 전에 비해 TRE 후에 전반적인 삶의 질과 6개의 하위영역(신체 영역, 심리적 영역, 독립성 영역, 사회영역, 환경영역, 영성 영역) 모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회기 초반에 호소한 불안의 완화, 불면에서 숙면으로 전환, 무기력에서 생활의 활력 증진, 소화불량에서 소화 잘됨으로 개선, 갱년기 증세와 통증의 완화, 죽음에 대한 불안 해소 등의 효과를 보고하였다. 결론적으로 TRE는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욱이 TRE는 한번 배우면 평생 잘 활용할 수 있는 탁월하고 유용한 자가 치유 방편이다. 이 연구의 결과가 중년여성을 비롯하여 삶의 질 향상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소중한 정보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 초록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내담자 정보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과 분석
Ⅲ. 연구 결과
1. TRE 전과 후의 삶의 질 비교
2. TRE 적용단계의 관찰 및 인터뷰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조주영 Ju Young, Jo. 백석대학교 부교수, Advanced TRE 프로바이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