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과장광고가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일치성의 매개효과 : 대학 광고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Self-Congruence on the Effect of Exaggerated Advertisement on Product Attitude : Focusing on the University Advertisement

김시윤, 송재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xaggeration in advertisements of University, a type of service aimed at self-improvement. Claims such as “top 1% talent”, which are often used in university advertisements, can be judged as exaggerated advertisements using excessively ideal self-concept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is case, it can contradict consumer’s own self-concept. Based on this reasoning,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xaggerated advertising with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as mediating variables. Three survey-based experiments showed that the exaggerated self-concepts caused self-discrepancies with subjects, that self-discrepancies can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 towards university. In particular, the effect of ideal self-congruence appeared in the form of reverse U, which negatively affects not only negative self-discrepancies but also positive self-discrepancies.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exaggerated self-concepts on the attitude towards univers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ase of adult subjects and high school student subjects.

한국어

본 연구는 자아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의 일종인 대학 광고를 대상으로 과장광고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대학 광고에서 자주 사용되는 ‘상위 1% 인재’와 같은 주장은 실제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할 때 지나치게 이상적인 자아개념을 사용한 과장광고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소비 자가 스스로 가지는 자아와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이상적인 자아개념이 제시될 경우 소비자가 이를 달성 가능한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부정적 반응이 유발될 수 있다. 이런 추론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재상과 소비자의 현실적 또는 이상적 자아와의 일치 여부를 매개변 수로 고려하여 대학 광고에서 과장된 인재상을 제시하는 광고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대학 광고를 활용 한 세 차례의 설문 기반 실험에서 과장된 자아개념은 피실험자들과의 자아 불일치를 유발하여, 대학 태 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상적 자아일치성의 영향은 부정적 불일치뿐 아니라 긍정적 불일치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과장된 자아개념이 대학 태도에 미 치는 영향은 성인과 고등학생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제시
2.1 과장광고 관련 선행연구
2.2 과장광고 여부가 매개변수들에 미치는 영향
2.3 매개변수들이 대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Ⅲ. 실험 1
3.1 실험 개요
3.2 변수 측정
3.3 조작점검
3.4 분석 결과
Ⅳ. 실험 2
4.1 실험 개요
4.2 분석 결과
Ⅴ. 실험 3
5.1 실험 개요
5.2 분석 결과
Ⅵ. 결론
6.1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6.2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시윤 Si Yun Kim.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송재도 Jae-Do Song.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권재경 (1999). 대학 신문광고 Visual Message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4, 154-172.
  • 2김동규 (2017). 과장광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역사적 연구: 17세기 중엽∼1910년대까지를중심으로. 광고PR실학연구, 10(3), 9-40.
  • 3김미숙, 박광배 (1991). 광고의 과장된 정도가 소비자에 대해서 가지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77-286.
  • 4김민석 (2019). 비현실적 광고표현의 사례연구-2005년 이후 해외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20(60), 81-90.
  • 5김상조 (2004). 부정적 정보유형에 의해 초래된 매력적 여성유명인모델의 광고모델적 가치 변화가 광고태도 및 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인쇄광고에서의 상표연상집합(associative set)의 조절효과. 광고연구, (62), 29-53.
  • 6김은정, 박흥진, 한상호 (2014). 자아일치성이 기능적 일치성,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을 중심으로. 프랜차이즈경영연구, 5(2), 5-23.
  • 7김종무 (2010). TV 광고에서 모델 선호도와 일치성에 관한 연구-모델의 속성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9(3), 3-14.
  • 8김춘곤 (2007). 연예인광고모델 속성이 외식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 9김태희, 이보라, 손은영 (2009).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선택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스타벅스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8(1), 171-185.
  • 10김현정 (2020).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자아일치감 반영을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17(3), 97-135.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