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특징 고찰(2) - 조선시대 범종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anskrit Characters in Korean Buddhist Art(2) - A Focus on Buddhist Temple Bells -

이선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ddhist temple bells are crucial for studying Sanskrit characters in Buddhist ar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y make up largest proportion among Buddhist items bearing Sanskrit characters and span a wide range of time from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modern era. Second, since the inscriptions on the bells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eriods, regions, temple names, and artisans related to their creation, they can help establish clear criteria for examining changes in Sanskrit characters in Korea over time. Third, the artisans who created the bells also produced various other metal objects, including Buddhist gongs, alms bowls, and bullanggipo cannons, thus impacting the entire field of metal crafting. Accordingl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anskrit characters on 178 Buddhist temple bells produced before 1950 by examining both surviving examples and dry plate photographs. It discusses aspects of the incorporation and development of Sanskrit characters by period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anskrit characters on Korean Buddhist temple bells. Other than the six Goryeo-era Buddhist temple bells, most Buddhist temple bells bearing Sanskrit characters date to the Joseon Dynasty. They most notably differ before an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a time when the number of Buddhist temple bells expanded dramatically.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Sanskrit characters on Buddhist temple bells from the Goryeo, early Joseon, and late Joseon periods in relation to the artisans who crafted them. In doing so, it specifies their periodic characteristics. Moreover, it argues that the Sanskrit characters on Buddhist temple bells embody the omni-cultur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Sanskrit characters as embraced in Buddhist art. It also points out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intensify the meanings attributed to religious object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wooden architecture, Buddhist painting, and stone art.

한국어

불교미술 중 범자의 수용이 가장 두드러지는 범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불교미술의 범자를연구하는데 있어 범종이 중요한 것은 첫째 고려시대부터 근대까지 시대 범위가 광범위한 만큼 양적으로도 가장 방대하고, 둘째 명문을 통해 시기·지역·사찰명, 그리고 장인을 확인할 수 있어 시대 변화를 파악하는데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셋째 범종 장인들의 활동 범위가 금고, 향완, 발우, 佛狼機砲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 만큼 금속공예 전 분야에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에 1950년을 하한으로 현존 유물과 유리건판 사진을 포함한 범종 178점의 범자를 분석하였다.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범자의 수용과 전개 양상을 제시하였으며, 한국 범종에 나타난 범자의특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범종의 범자는 고려시대 6점을 제외하고 모두 조선시대, 그중에서도 폭발적으로 증가한 17세기를 기점으로 전·후 시기의 범종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시대,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구분하여 범종 범자의 변화 양상을 장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대별 특징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범종 범자는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범문화적인 보편적 성격, 그리고 종교적 器物로써 지닌 의미를 증폭시키는 특수성이 공존하며, 이는 목조건축·불교회화· 석조미술과 차별화되는 성격임을 제시하였다.

목차

I. 머리말
II. 조선시대 범종의 범자 수용과 전개
III. 범종에 수용된 범자의 특징
I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선용 Lee Seonyong.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연구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