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주 남산의 사리장엄구

원문정보

Sarira Reliquary of Mt. Namsan of Gyeongju

한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Mt. Mt. Namsan of Gyeongju,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100 stone pagodas established, but the Seotap in Namsan-dong is the only case that the Sarira Reliquary has been collected through the formal survey. Fragments of bronze-made Bulgam (small-scaled shrine) and some offered items were collected from the 1-story pagoda body stone of this stone pagoda that was disassembled and repaired in 1916 but the whereabout of the relics is not known at the present time. Other data are classified largely by the general relics as the Sarira Reliquary discovered in Mt. Namsan and the relics recorded on written document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lass plate photograph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s introduced as Beomhan Dharani excavated from Mt. Namsan of Gyeongju, these two sheets of Dharani are disclosed as (Mahāpratisarāvid yārājanā) that are copied by Sanskrit an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above, the Chinese charactered Dharani had the copies of a total of 8 Dharanis recorded in the Sutra beginning with the basic sutra, and the fact that the center of the original Dharani had the arrangement of the byeondangdo(a drawing of Buddhist impression changes) has been confirmed. Looking into the style of gold-bronze gyeongham (Buddhist script box) that had the style of Dharani, recorded names of people as well as the one that contained Dharani, the time of its production could be estimated as late 8th century or early 9th century. As for the bibliographical data regarding the Sarira Reliquary in Mt. Namsan of Gyeongju, there are widely known Sariga discovered from the stone pagoda of Changlimsa(temple) in 1824 and the record of Chusa Kim Jeong-hee on Mugujeonggwangdaedh aranigyeong(Rasimivimalavisuddhaprabhanama-dharani-sutra, Great Dharani Sutra of inunaculate and pure light). As a result of tracing on this record and the basis of the original copy of Dharani-Sutra that have been kept by Chusa, it has confirmed the fact that 『Muguje onggwangdaedharanigyeong』 held in Seongam Ancient Writings Museum now is the relics discovered in the stone pagoda of Changlim-sa. This volume of Dharani-Sutra established around 855 still has the byeongsang-do remaining with the golden crown on the yellow silk. This diagram is known as the only byeonsan-do of 『Mugujeonggwangdaedaedharanigyeong』 known to this present time. It depicted 8 Bodhisattvas around Sakyamuni along with the stone pagoda and monks engaged in the ceremony, the Guardian Gods, Hwabul, the Flying deva and so forth that demonstrated a highly facilitating value as the critical data in studies of Buddhist arts in the Silla Dynasty.

한국어

경주 남산에는 100여기에 달하는 석탑이 건립된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정식 조사를 통해 사리장엄구가 수습된 것은 남산동 서탑이 유일한 사례이다. 1916년에 해체 수리된 이 석탑의 1층 탑신석에서 청동제 佛龕 파편과 일부 공양품이 수습되었으나 현재 유물의 행방은 자세히 알 수 없다. 그 밖의 자료는 크게 남산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라고 전칭되는 유물과 문헌에 기록된 유물로 구분된다. 먼저 專 경주 남산출토 범한다라니로 소개된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리건판사진을 분석한 결과2매의 다라니는 각각 범자와 한자로 필사한 <隨求卽得大自在陀羅尼>로 밝혀졌다. 이 가운데 한자본 다라니에는 根本呪를 시작으로 경전에 수록된 총 8개의 다라니가 모두 필사되었으며, 원래다라니의 중앙에는 변상도가 배치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라니의 형식과 기록된 人名 그리고 다라니가 들어있던 금동경함의 양식으로 볼 때 그 제작 시기는 8세기 후반 또는 9세기 초로추정된다. 경주 남산의 사리장엄구 관련 문헌자료로는 1824년 창림사 석탑에서 발견된 사리기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대한 秋史 김정희의 기록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기록과 추사가 소장했던 다라니경의 摹本을 근거로 추적한 결과 현재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바로창림사 석탑에서 발견된 유물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855년 경에 제작된 이 다라니경의 卷首 에는 황색비단에 금니로 변상도가 남아있다. 이 그림은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변상도로 주목된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8대보살을 비롯하여 석탑과 의식을 행하는 승려, 신장상, 화불, 비천상 등이 묘사되어 신라 불교미술 연구의 기준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

목차

I. 머리말
II. 일제강점기 경주 남산 석탑 조사와 오구라 컬렉션 사리장엄구
III. 傳 남산출토 梵漢陀羅尼와 금동경함
IV. 창림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정호 Han Joung Ho. 동국대학교 WISE 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