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佛像의 複製와 變奏 - 6~8세기 중국 阿育王像의 標準形式과 異形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Replicas and Variations of Buddha Statues - Focusing on the standard form and variants of the Asokan statues in 6th-8th century China.

불상의 복제와 변주 - 6~8세기 중국 아육왕상의 표준형식과 이형을 중심으로

소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the 'replication and variation of Buddha statues in medieval China' by focusing on the Asokan statues, which had a large number of replicas in China from the 6th to the 8th century. It aims to identify the standard form of the statues through extant artifacts and textual records, and considers the role of illustrated texts written by Buddhist leaders such as Daoxuan(道宣) in disseminating the standard form.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m was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original image in Chang'gansi(長干寺) Temple. The standard form of the Asokan statues, which was estimated through analysis of written records and artifacts, is as follows: He had a beardless face, a sturdy and imposing body, and was dressed in an Indian-style robe that covered both shoulders, with a U-shaped fold. His two hands were raised in front of him, with his right hand presenting the Abhaya mudra and his left hand holding the hem of the robe. Therefore, exceptions such as the mustache seen on the images excavated in Chengdu(成都) are variations of the standard form. Asokan statues, depicted in Cave 323 of the Mogao Grottes in Dunhuang, is wearing a robe with the right shoulder exposed and left hand down, which differs from the standard form. The appearance of this variant suggests that the statues in Cave 323 were based on texts from the Dunhuang and elsewhere, rather than from a centralized source. While the Tang dynasty attempted to achieve Buddhist cultural unity through a centralized political system, local cultural traditions that differed from the center were strongly maintained in Dunhuang.

한국어

본 연구는 6~8세기 중국에서 다량의 복제상이 존재했던 아육왕상을 통해 ‘중국 중세기 불상의 복제와 그 변주’ 양상을 탐구했다. 현존하는 실물과 문자 기록을 통해 아육왕상의 표준형식을추정하고, 표준형식의 유포에 道宣 등 불교계 리더가 쓴 圖讚類 텍스트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고찰했다. 표준형식의 정립은 ‘장간사 아육왕상’이라는 本像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문헌과 실물분석을 통해 추정한 아육왕상의 표준형식은 다음과 같다. 즉, 수염이 없는 단정한 像容에 대장부처럼 당당한 신체를 가졌으며, U자형 옷주름을 가진 인도식의 통견 대의를 입고, 두 손은 앞으로 올려 오른손은 시무외인을, 그리고 왼손은 옷자락을 잡은 형태이다. 그러므로 성도 아육왕상에 보이는콧수염 등의 예외는 표준형의 변주라 할 수 있다. 돈황 막고굴 제323굴에 묘사된 장간사 아육왕상은 표준형식과 달리 편단우견 대의를 입고 왼손을 아래로 내려뜨리고 있다. 이형 아육왕상의 출현은 323굴의 상이 중앙이 아닌 돈황 등지에서찬술된 텍스트에 근거해 묘사되었음을 의미한다. 당 왕조는 중앙집권적 정치시스템과 연동해 불교문화의 통일성을 달성하려 했지만, 돈황에는 중앙과는 다른 지역문화의 전통이 강건히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목차

I. 머리말
II. 아육왕상의 출현과 복제상의 유포
III. 아육왕상의 표준형식과 변주
IV. 異形 아육왕상 : 敦煜 莫高窟 323굴의 벽화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소현숙 So, Hyunsook.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