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in Ulsan

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d th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in Ulsan. More than 30 small gilt-bronze and stone Buddha statues were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Most of these Buddha statues have been excavated broken, so they are not attracting the attention of related experts. However, the gilt-bronz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the pit and stone Buddha statues estimated to be the main buddha of golden hall are considered important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the history of Yeongchuksa Temple. In addition, gilt-bronze Buddha statues have various forms and styles, so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material for Silla's gilt-bronze Buddha statue research, and stone Buddha statues are significant as new materials that show the style of stone Buddha in the 9th century. Judging from the excavated Buddha statue, Yeongchuksa Temple was rebuilt in the 9th century, and it is believed that the golden hall was destroyed by a large fire in the 10th and 11th centuries, and the Buddha statue enshrined inside was also damaged. It is estimated that Yeongchuksa Temple repaired the East Corridor in the late 11th century and also built a northeast stone wall. The Yeongchuksa Temple was rebuilt in the late 11th or early 12th century, but it is estimated that it was closed at the end of Goryeo soon.

한국어

본 논문은 울산 영축사지에서 발굴된 불상을 검토한 것이다. 영축사지에서는 30건 이상 되는 소형금동불상과 석조불상이 출토되었다. 이 불상들은 대부분 깨지고 부서진 상태로 출토되어 그동안 관계전문가에게 주목되지 못했다. 그러나 기와무지에서 일괄 출토된 금동불상과 금당의 본존상으로 추정되는 석조불상은 영축사의 역사와 관련해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생각된다. 그뿐만 아니라, 금동불상은 다양한 형식과 양식을 갖추고 있어 신라 소금동불상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되며, 석조불상은 신라 9세기 석조불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신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발굴된 불상을 통해 볼 때, 영축사는 9세기 초창 혹은 중창되었고, 10~11세기 대형 화재로 인해 금당이 소실되면서 내부에 봉안된 불상도 훼손된 것으로 판단된다. 11세기 후반 이후 영축사는 중수되었으며 이때 유실된 동회랑 동편일대가 보수되었고, 사역 동북편 일대의 축대도 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11세기 말~12세기경 영축사는 또 한 번의 중수 불사가 있었지만 오랜 시간 법등을 이어가지 못하고 고려 말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I. 머리말
II. 불상의 현황과 출토 양상
III. 금동불상의 특징과 조성시기
IV. 석조여래자상의 도상과 조성시기
V. 맺음말 : 발굴 불상으로 본 영축사의 중창과 폐사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하 Kim Dong ha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