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 음악 활동이 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 of Group Music Activit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박태은, 문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strument-centered group music activit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an integra ted childcare center. The study included 20 five-year-old children from an S Daycare Cente r in B-dong, S-gu, Seoul, with 10 participan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 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instrument-centered group music activities once a week for 12 session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regular activities of the integrated childcare center. To assess the impact of these music activities on interact ion between the children, the researchers used the Korean Social Skill Rating Scale for Pres choolers (K-SSRSP) and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Data analysis involve d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for inter-group comparison and paired t-test were used for intra-group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kills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ocial skills scor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er play interactio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ore over, the peer play interaction scor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statisticall 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ment-centered group music acti vities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악기연주 중심의 집단 음악 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내의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S구 B동의 S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은 12주간 주 1회씩 12회기에 걸쳐 악기연주 중심의 집단 음악 활동에, 통제집단은 통합어린이집의 기존 일과에 참여하도록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기술 척도 (K-SSRSP), 또래놀이 상호작용 척도(PIPPS)를 사용하여 악기연주 중심의 집단 음악 활동이 통합어린이집 내의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은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 t 검정과 ANCOVA를 사용하였으며, 집단 내 비교를 위해 대응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회성 기술 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내 사회성 기술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또래 놀이 상호작용 점수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내 또래 놀이 상호작용 점수도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악기연주 중심의 집단 음악 활동이 통합어린이집의 장애 유아와 비 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처리 및 분석
III. 연구 결과
1. 집단 간 동질성 검증
2. 집단 간 사회성 결과
3. 집단 간 또래 놀이 상호작용 결과
4. 실험집단 내 사회성 결과
5. 실험집단 내 또래 놀이 상호작용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태은 Park, Tae-Eun.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음악치료사
  • 문지영 Moon,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