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최근 고고학적 성과로 본 익산토성의 성격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Iksan Earthen Fortress Observed from the Recent Archaeological Findings

이문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ksan Earthen Fortress is a mountain fortress of Pogok type (包谷式) built at the top of Ogeumsan Mountain range (125m above sea level). It is also called ‘Ogeumsan Mountain Fortress (五金山城)’ or ‘Bodeokseong Fortress (報德城)’. The excavation results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may be summed up as follows: ①Iksan Mountain Fortress is a stone-built castle. ②The south gate (南門址) which was already discovered seems to have been re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judging from the newly confirmed site of west gate (西門址) (closed). ③Considering the row of pillar holes f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northern wall (outer wall) of Iksan Earthen Fortress and the existing investigation of the stamped earthwork mound on the west side of the south gate, the possibility that it must be an earthen fortress cannot be ruled out. ④Judging from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one materials used in the southeastern corner (section III-2) of the Iksan Earthen Fortres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walls, it is possible that the planar shape of Iksan Earthen Fortress during the Baekje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are from the Baekje period. In particular, the pottery with inscription of ‘Buksa(北舍)’ and roof tiles with stamped letters ‘Subu(首府)’ are the representative relics that display very well the character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such relics have been excavated only in the royal family-related ruins, limited to Buyeo and Iksan. Considering that Iksan Earthen Fortress is located on the midway link between the royal palace and Mireuksa Temple within the dualistic defense system of the Geumma area, it is interpreted as a refugee castle of the Iksan royal palace.

한국어

익산토성은 오금산 줄기의 정상부(해발 125m)에 축조된 포곡식 산성이다. 익산토성은 일명 ‘오금산성(五金山城)’ 또는 ‘보덕성(報德城)’으로도 불린다. 익산토성은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익산토성은 석축성이다. ②기존 알려진 남문지는 새롭게 확인된 서문지(폐쇄)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이다. ③익산토성은 북성벽(외성벽) 하부에서 확인된 주공열과 기존에 조사된 남문지 서측 판축토루 등을 종합해 볼 때 토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④익산토성의 남동모서리(Ⅲ-2구역)에서 기존 성벽과 다른 축조 방법과 석재 등으로 보아 백제시대 익산토성의 평면 형태는 지금과 다른 모습일 가능성이 있다. 익산토성에서는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백제시대 유물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익산토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北舍」銘 토기편과 「首府」銘 인장와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북사」명 토기편과 「수부」명 인장와는 부여와 익산 지역에 한정되어 왕실 관련 유적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익산토성은 금마 지역의 이원적 방어체계 내에서 왕궁과 미륵사의 중간 연결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익산 왕궁의 피난성으로 해석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익산 지역의 산성과 익산토성
Ⅲ. 익산토성의 조사 성과
Ⅳ. 익산토성의 운영 시기와 성격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문형 Lee, Moon-Hyou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