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Session_4 (좌장: 이종남 박사, 경성대학교)

한국 내 서식지 유형에 따른 외래거북과 자생거북의 점유율과 발견율

원문정보

Occupancy and Detection Probability of Exotic Turtles and Native Turtles According to Habitat Type in Korea

최재혁, 박승민, 유중길, 손상호, 고영민, 성하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것 이며, 외래생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경쟁, 질병 또는 기생충 전이 또한 하나의 원인 이다. 외래생물의 유입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서도 마찬가지 다. 한국 내 생태계교란 생물은 현재 37종 중 파충류는 6종으로 모두 거북목에 속하 며, 한국 내 여러 피해를 주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그들의 점유율, 발견율 그리고 자생종이나 생태계에 주는 피해에 대해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 는 한국 내 서울, 대전, 광주, 제주 4개의 도시와 그와 인접한 도시들에서 외래거북 과 자생종 거북의 점유율, 발견율을 파악하고자 한다. 총 30,917개 저수지의 토지 이 용도를 이용하여 총 도시별 30개씩(도심저수지 15개, 산림저수지 15개) 총 120개의 저수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조사는 4월부터 6월까지 아침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각 조사를 이용하여 진행했으며, 조사 시 발견된 거북의 종과 개체수, 조사 시간, 기온, 수온, 습도, 개방수면 면적 등을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자생거북보다 외래거북 들이 도심저수지와 산림저수지 모두에서 더 높은 점유율과 발견율을 보였다. 자생거 북과 외래거북 모두 기온이 높고, 개방수면 면적이 넓을 때 발견율이 높았으며, 시간 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외래거북들은 낮은 온도와 늦은 시간에서도 발견율이 높았지만, 자생거북의 경우 낮은 모습을 보였다. 우리 연구는 대한민국의 환경이 외래거북이 적응하고 생활하기 적합하며 이는 이후 자생거북의 잠재적 보존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외래거북들의 개체군 조절이나 제거 방법 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저자정보

  • 최재혁 Jae-Hyeok Choi. 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
  • 박승민 Seung-Min Park. 전남대학교 생물과학생명기술학과
  • 유중길 Jung-Gil Ryu. 서울여자대학교 화학생명환경과학부
  • 손상호 Sang-Ho Son. 물살이 연구소
  • 고영민 Young-Min Ko. 제주 양서류 연구소
  • 성하철 Ha-Cheol Sung.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