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행사상(五行思想)의 변천에 관한 철학적 고찰

원문정보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hanges of the Five Elements

서근식

우계문화재단 우계학보 제44호 2023.06 pp.73-9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d the change of the Five Elements Thought(五行思想). The writings in Gwanja(『管子』) are known to have standardized the Five Elements(五行). In Gwanja(『管子』), one season is added to the four seasons. He named it Gyeha(季夏) and created five seasons. Now, with 5 lines and 5seasons, it has become a combination that suits the number. The Five Elements Thought(五行思想) was an idea that politically referred to China and the four seasons. Dong Zhong-Shu(董仲舒) made the Five Elements(五行), which had been political until now, into a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by advocating the theory of impressions of heaven. The problem of the Five Elements(五行) has now moved from a political problem to a social and cultural one. The Five Elements Thought(五行思想) of the Song Dynasty was examined in Zhou Dunyi(周敦頤)'s “Taijitushuo”(「太極圖說)」) and Zhu Xi(朱熹)'s “Taijijieyi”(「太極解義)」), which explained it. What originally had only four poems was resolved with the part called Kiwang, and what was only side(四德) in Mencius(『孟子』) has now become the wuchang(五常). Joseon's Five Elements(五行) idea took the same position as the Song Dynasty's Five Elements(五行) idea as Joseon accepted Neo-Confucianism. The Five Elements(五行) of Silhak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opposed the speculative idea of creating all things and thought of them as essential materials for daily life. This idea is against anything speculative. The Five Elements(五行) is still used by us. If so, we need to come up with a plan to universalize it in some way.

한국어

본 논문은 오행사상(五行思想)의 변천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관자(管子)』의 글들은 오행사상을 정형화했다고 알려져 있는 글들이다. 『관자』에서는 4계절에 1계절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를 계하(季夏)라고 이름 붙여 5계절을 만들었다. 이제는 5행과 5계절로 숫자상으로도 어울리는 조합이 되었다. 오행사상은 중화(中華)와 사이(四夷)를 정치적으로 언급했던 사상이었다. 동중서(董仲舒)는 천인상감론을 내세워 그동안 정치적인 것이었던 오행사상을 자연과 인간 사이의 관계로 만들었다. 오행사상의 문제는 이제 정치적인 문제에서 사회·문화적인 것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송나라의 오행사상은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이것을 해설한 주희(朱熹)의 「태극해의(太極解義)」를 살펴보았다. 본래 사시 밖에 없던 것을 기왕(寄旺)이라는 부분으로 해결했으며, 『맹자(孟子)』에서는 사덕(四德)뿐이던 것이 이제는 오상(五常)으로 자리매김했다. 조선의 오행사상은 조선이 성리학을 받아들임으로서 송나라 오행사상과 같은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오행은 만물을 만들어 내는 사변적인 것이라는 생각에 반대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질로 생각했던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사변적인 어떤 것도 반대한다는 생각이다. 오행사상은 아직까지 우리들에게 사용된다.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그것을 보편화할 방책을 마련해야 해야 한다.

목차

논문초록
1. 머리말
2. 『관자(管子)』에 나타난 오행
3. 한나라의 오행사상
4. 송나라의 오행사상
5. 조선의 오행사상
6. 다양하게 쓰이는 오행의 의미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근식 Seo Geun-Sik.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전공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