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신라 후기 경주지역의 횡혈식석실분 전개와 중고·중대의 왕릉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of Late Silla Stone Chamber Tombs in the Gyeongju Region and the Royal Tombs of Silla’s Middle Ancient Period (中古期) and Middle Period (中代)

최병현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50집 2023.06 pp.275-33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traces the process by which the Silla’s highest ruling class adopted stone chamber tombs, which they constructed in the Gyeongju region, the state’s capital, and aims to identify among those stone chamber tombs the Royal Tombs of Silla’s Middle Ancient Period (中古期) and Middle Period (中代). In Silla, stone chamber tombs were adopted first in the local regions, prior to their adoption in Silla’s capital area. This seems to indicate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Goguryeo tombs. It was from the mid-sixth century, just following the promulgation of laws and the official decree of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that Silla’s highest ruling class began to adopt stone chamber tombs. It is likely that Silla’s capital opened its doors to craftspeople specializing in tomb construction who had prior experience of having constructed stone chamber tombs in the local regions. It is from this time that new burial grounds came to be formed in the mountainous regions surrounding the Gyeongju Basin. This is seen to represent the respective occupation of these mountainous areas to be used as the cemeteries of those political groups that had previously constructed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of the Wolseong North Tomb Cluster in Silla’s Early Period. Of these newly established burial grounds, the one represented by Seoakdong Tomb Cluster, located to in the west of the Gyeongju Basin, is likely the large-scale burial ground formed by Silla royalty in Silla’s Middle Ancient Period. Following the appearance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Gyeongju Basin, they became to be used as Royal Tombs from Silla’s Middle Ancient Period. In the early part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Royal Tombs were constructed in the area of the Seoakdong Tomb Cluster. The Royal Tombs of the late part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on the other hand, were located along the eastern and southern peripheral areas of the Gyeongju Basin. They would later be used to mark the boundaries in the the urban planning of Silla’s Royal Capital. The Royal Tombs of Silla’s Middle Period were constructed outside the Gyeongju Basin, to its southeast. It may be that their loc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ation route that extended to King Munmu’s Underwater Royal Tomb, situated in the East Sea. This paper does not deal with the Royal Tombs of Silla’s Late Period, as rules regarding Royal Tomb placement were in a state of disarray in this period,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patterns in Royal Tomb location or the formation of the burial grounds used by the Royal Family.

한국어

본고에서는 신라의 최고 지배세력이 횡혈식석실분을 수용하여 수도 경주지역에서 축조 해 간 과정을 밝히고, 횡혈식석실분으로 축조된 신라 中古期와 中代의 왕릉들을 비정하고 자 하였다. 신라에서는 횡혈식석실분이 수도 경주지역에 앞서 지방의 고분군에 먼저 도입되었는데, 그 구조로 보아 고구려 고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의 최고 지배세력이 횡 혈식석실분 수용하여 경주지역에서 축조하기 시작한 것은 신라가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한 직후인 서기 6세기 중엽부터였다. 앞서 횡혈식석실분을 축조하고 있었던 지방의 造 墓工人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이며, 이때부터 경주분지를 둘러싼 산지에는 곳곳에 새로운 고분군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신라 전기에 월성북고분군에서 적석목곽분을 축조하고 있 었던 세력들이 집단별로 분지 주변의 산지를 점유하여 묘지를 옮겨간 것이다. 그 중 경주 분지 서쪽의 서악동고분군이 최상위 위계로, 신라 중고기의 왕실집단이 이곳으로 묘지를 옮겨 대고분군을 형성한 것이다. 경주지역에서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면서, 신라 중고기 이후의 왕릉들도 횡혈식석실분 으로 축조되었다. 중고기 초기의 왕릉들은 서악동고분군에 조영되었으며, 그 후기의 왕릉 들은 경주분지 동쪽과 남쪽의 외곽에 자리하여, 후에 신라왕경 도시구획의 경계를 이루게 한 것으로 보인다. 중대의 왕릉들은 경주분지를 벗어나 동남쪽 외곽으로 배치되었는데, 문 무왕의 동해 水中陵을 향하는 교통로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고에서 는 왕릉들의 배치 질서까지도 무너져, 왕릉 배치의 기획성이나 왕릉들의 진행방향을 찾을 수 없는 신라 下代의 왕릉 비정은 유보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의 횡혈식석실분 수용
1. 신라 전기 지방의 횡혈식석실분
2. 신라의 횡혈식석실분 수용과 경주지역의 신라 후기 고분군 조영
Ⅲ. 신라 후기 경주지역의 석실봉토분 전개
1. 석실의 형식과 편년
2. 석실의 계층성
3. 석실의 축조기법과 구조의 변천(도 10)
Ⅳ. 중고·중대의 왕릉
1. 왕릉 비정의 준거
2. 중고기의 왕릉
3. 중대의 왕릉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최병현 Choi, Byung Hyun.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1,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