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중국 고대문명 연구 100년 : 쟁점과 전망

원문정보

One Hundred Years in the Studies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Issues and Prospect

심재훈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50집 2023.06 pp.149-20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views the scholarship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since the 1900s focusing on the keywords of “regionalism” and the “doubting or believing antiquity.” The two issues, perhaps more substantially than any other regions, seem to be rooted on particular historical conditions inherent in China such as the dominance of antiquarianism and the celebrated traditional scholarship as well as being a response to the Western impact. Chinese archaeologists’ long-term endeavor to disprove the Western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argued by Johan G. Anderson in the 1920s marks the transition to Sinocentric regionalism, which was propelled by the growth of indigenous scholarship, from Eurocentric regionalism. As represented by Su Bingqi’s “regional systems and cultural types” (quxileixing 區系類型) and K.C. Chang’s “Chinese interaction sphere,” the new regionalism results in a contradiction between the centrifugalism prevalent in the multiregional Neolithic archaeology built on current Chinese territory and the centripetalism ingrained deeply in traditional Chinese historiography. While Chinese scholars tend to reconcile the pluralistic phenomena into the monolithic linear trajectory, Western scholars gives more stress on muitiregional trajectories. Another methodological dispute on the authenticity of early Chinese texts underlies these controversies. It was the “doubting antiquity” (yigu 疑古) theorized by Gu Jiegang in 1920s following Tominaga Nakamoto, Cui Shu and Shiratori Kurakichi’s lead that took the studies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in the 20th century by storm. But the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ncluding the Chu bamboo slips, led Chinese scholars to revisit the doubting antiquity discourse to the extent that in the 1990s, Li Xueqin urged to “step out of the doubting antiquity.” This declaration has affected the current trend of “believing antiquity” in Chinese academia. More and more influential Chinese-American scholars further seem to have reshuffled the academia in the West, which was previously in exclusive support of “doubting antiquity.”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visionist approach overcoming the extreme of doubting or believing antiquity both in China and the West will open a new vista in the studies of early Chinese civilization.

한국어

이 글은 1900년대 이래 중국 고대문명 연구를 “지역주의”와 “의고·신고” 논쟁이라는 키 워드로 검토한다. 이 두 가지 쟁점은 중국이 처한 특수한 역사적 조건, 즉 어느 지역보다 강력한 호고주의와 장기 지속적 학술 전통, 서양 학술의 충격에 대한 대응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 안데르손이 제기한 중국 문명의 서방기원설에 대한 중국 학계의 장기에 걸친 반증 노력은 유럽 중심적 지역주의에서 자체 학문의 성장으로 촉진된 중국적 지역주의로 의 전이를 나타낸다. 중국의 새로운 지역주의는 쑤빙치의 “구계유형론”과 장광즈의 “상호 영향권”으로 대표되듯, 현재 중국 영토 내의 다양한 신석기 고고 자료로 표출되는 “원심 성”과 전통 역사관으로 자리 잡은 중원 중심의 “구심성”이라는 모순을 초래하고 있다. 중 국학자들이 그 다원성을 단선적 발전 궤적으로 수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면, 서양학자들은 각 지역에 초점을 맞춘 다수 궤적 이론에 치중한다. 이러한 차이의 저변에는 고대 중국 문헌의 신빙성을 둘러싼 또 다른 방법론상의 논쟁이 자리한다. 토미나가 나카모토와 최술, 시라토리 구라키치를 거치며 1920년대 구제강이 정 립한 고문헌의 신빙성에 대한 의심, 즉 의고 인식이 20세기를 풍미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초간을 비롯한 새로운 고고학 성과가 의고 인식을 재고케 하여 리쉐친이 “주출의 고”를 제창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인식이 현재 중국 학계를 주도하는 신고 경향을 추동했 고, 구미에서 활동하는 뛰어난 중국계 학자들의 영향으로 기존 의고 일변도의 구미 학계 역시 재편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구미에서 극단적 의고와 신고 모두를 지양하는 수정주의 적 연구가 중국 고대문명 연구를 더욱 다채롭게 해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호고주의와 고문자학, 고고학
1. 중국의 호고주의 전통
2. 고문자에서 출토문헌으로
3. 고고학, 전통과 서양 담론의 결합
Ⅲ. 지역주의
1. 서양 대 중국의 지역주의
2. 구계유형론과 지역주의의 진화
Ⅳ. 의고와 신고의 길항
1. 의고의 확산과 “주출의고(走出疑古)”의 반격
2. 구미 학계의 재편
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심재훈 Shim, Jae Hoon.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