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Origin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Goryeoin
초록
영어
It has been 160 years since the first Goryeoin emigrated to Russia, and it has been 86 years since they were forced to migrate to Central Asia in 1937. Also, we are entering into the 31st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Uzbekistan. Overseas Koreans have always pursued localization by exchanging with various ethnic groups while inheriting and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thnic cultural heritage through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history and process of Mother tongue instruction, which was carried out even after the migration of Koreans to Russia and their forced migration to Central Asia, so that they are currently living as minorities in Uzbekistan and the CIS, and as Russian-speaking and overseas Koreans in Korea. I would like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direction of the overseas and domestic Mother tongue instruction system for Goryeoin who are It is reported that learning guidance in the Mother tongue instruction not only develops the mother tongue, but also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students, and is effective in developing mainstream social language and moving to formal education groups earlier than other methods. For Uzbekistan local students and Goryeoin children/students, ‘Korean language courses and Korean studies courses in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ies have been expanded’, ‘expa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joint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for Goryeoin and Uzbekistan students’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course’ and ‘learner-centered platform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The Mother tongue instruction policy for Goryeoin children/students is should be one of the policies for overseas Koreans and Goryeoin of the Overseas Koreans Agency which was newly launched in 2023. All Goryeoin should be given the qualification to learn their Mother tongue, and a pos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in which they can voluntarily choose it.
한국어
고려인이 러시아로 최초이주한지 160년을 맞이했으며, 1937년도 중앙아시아로 강 제이주를 떠나게 된 지 86년째 되었다. 또한 한국과 우즈베키스탄 수교 31주년으로 진 입하는 상황이다. 재외 한인들은 언제나 학교와 교육기관을 통해서 한국어 교육과 민 족 고유의 문화유산을 계승 발전하면서도 다양한 민족과 교류하면서 현지화를 추구하 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인의 러시아 이주와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후에도 실행하 였던 모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정에 관한 문헌연구를 살펴봄으로서 현재 우즈베키스탄 과 CIS 지역에서 소수민족으로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해외 동포로 거주하는 고려인들을 위한 해외 및 국내 모국어교육제도의 방향 제고와 우즈베키스탄 한국어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모국어로 된 학습지도는 모국어 발달뿐 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접근성도 우수하며 다른 방법보다 더 일찍 주류사회 언어의 발 달과 정규 교육 그룹으로 이동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즈베키스 탄 현지 학생들과 고려인 아동/학생들을 위해서는 ‘초·중·고·대학교들 내 한국어과정 및 한국학과 과정 증설’ 및 ‘교육기관의 확대’와 ‘공동 교재 개발’, ‘고려인과 우즈베키스 탄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원 양성과정 확대’ 그리고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플랫폼’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고려인 아동/학생들을 위한 모국어 교육 정 책은 2023년 새롭게 출범된 재외동포청의 해외동포와 고려인들을 위한 정책가운데 언 어 정책 법령안 입안과 심사에 작은 참고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모든 고려인들에게는 모국어를 배울 수 있는 자격이 주어져야 하고 그것을 자발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긍정 적인 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며
Ⅱ. 이론적 논의
1. 고려인의 한국어교육 배경
2. 고려인의 한국어교육
Ⅲ.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1. 초창기 해외 한국어과정 역사와 현황
2. 해외 소수민족 모국어 교육 프로그램
3. 1991년 이후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교육 현황과 전망
Ⅳ.나오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