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 Activity Experience, and Refugee Acceptance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and activity experiences on social distancing and refugee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in order to explore educational measures to cultivat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refugees among various types of migrants. To this end, a survey of 600 people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and refugee accept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and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divers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the small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for refuge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of social distancing and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activities other than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lticultural family friends among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wo-way assimilation, and both types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penness and mutual exchange. Third, exchanges with foreigner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dia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rejection, avoidance, one-way assimilation, and stereotyp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mutual exchange, and two-way assimilation. Fourth, the great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for refugees,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rejection, avoidance, one-way assimilation, and stereotypes, and the small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the higher the openness, mutual exchange, and two-way assimila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ing on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multicultural activity experiences, and refugee acceptance was also identified. Above all, in order to cultivate refugee acceptance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need for educational measures to reduce social distancing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contact and activity experiences with refugees, rather than diversifying contact experiences or activity experiences with refugees.
한국어
본 연구는 다양한 이주민의 유형 중 난민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육 방 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등학생들의 다문화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난민 수용성에 미친 영향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문화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에 따른 사 회적 거리감, 난민 수용성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접촉 경험이 다양할수록 난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작아지고, 다문화 활동 경험 중 다문화 교육 경험 외에는 사회적 거리감과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접촉 경험 중 다문화 가정 친구의 유무는 쌍방 동화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문화 접촉 경험의 유형 모두 개방·상호교류 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외국인과의 교류, 미디어 경험의 유무는 차별· 거부·회피, 일방동화·고정관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개방·상호교류, 쌍방동화와 부(-) 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난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클수록 차별·거부·회피, 일방동화·고정관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작을수록 개방·상호교 류, 쌍방동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접촉 경험, 다문 화 활동 경험과 난민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무엇보다 학교 교육현장에서 난민 수용성 함양을 위해서 난민과의 접촉 경험이나 활동 경험을 다양화 하는 것보다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의 질을 개선하면서 사회적 거리감을 줄여 나가는 교육적 방안의 필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난민 수용성
2. 사회적 거리감
3. 다문화 경험, 사회적 거리감, 난민 수용성 간 관계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검사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변인 간 상관분석과 다문화 접촉 경험 및 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거리감의 차이 분석
3. 다문화 접촉 경험 및 활동 경험과 난민 수용성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