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群書標記』의 成立과 板本에 대한 再考

원문정보

A Further Study on the Appearance and the Editions of Gunseopyogi

『군서표기』의 성립과 판본에 대한 재고

袁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unseopyogi is a very important bibliography from the Joseon Dynasty. It was printed as a part of Hongjaecheonseo as a Cheongli-type print. Up to now, Gunseopyogi has been recognized as a work by King Cheongjo. However, if we want to determine its real author, Seo Yeongsu is the key person. Through his writing, we know that the draft of Gunseopyogi came into existence earlier than previously considered. First, Seo Yeongsu laid the foundation and made a draft in 1797. Then, Seo Hosu continued the work in 1798. Finally, after Seo Hosu passed away in 1799, Seo Yeongbo and Shim Sanggyu took charge and completed the work.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existing edi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systems. The six-volume editions, which have already been talked about, including the Eojeosajib edition,Shinyu edition, and Gabsul edition, all correspond to Seo Yeongbo and Shim Sanggyu. Luckily, a four-volume edition was found at the Tokyo Metropolitan Central Library in Japan. Gunseopyogi was originally divided into four parts, including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ture. But now, Gunseopyogi has shown up with two parts: the works of the king and the works under command of the king. Korean scholars used to posit that there is also a five-volume edition of Gunseopyogi, but that may be incorrect. The second volume of the Eojeosajib edition is different from the other five volumes. Its catalogue page is missing and the first line is blank. If we just count the titles, the Eojeosajib edition seems to have only five volumes.

한국어

『群書標記』는 조선시대의 중요한 서목이고 『弘齋全書』에 포함되어 整理字로 인출되었다. 이제까지의 오랜 동안 正祖 御製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실상 『群書標記』의 실제 집필자를 따지자면 徐瀅修는 아주 중요한 인물이다. 徐瀅修의 <敬跋御劄論 『群書標記』後>를 통해 『群書標記』초고의 완성 시기를 丁巳(1797)으로 앞당길 수도 있고, 『群書標記』초고의 실제 책임자도 徐瀅修로 확인할 수도 있다. 먼저 徐瀅修가 凡例를 정하여 丁巳에 초고를 완성하고, 戊午(1798)에 徐浩修가 속편하고, 己未(1799)에 徐浩修가 별세한 후에는 다시 徐榮輔, 沈象奎가 이어받아 마무리하였다. 현전 판본은 특성에 따라 크게 六卷本과 四卷本 두 계통으로 분류된다. 이전 언급된 御製四集本, 辛酉寫本, 甲戌印本은 모두 六卷本이고 徐榮輔, 沈象奎가 보완한 것이다. 그런데 日本東京都立圖書館에 소장된 四卷本은 새롭게 발견되었고, 徐浩修의 언어표현 습관을 통해 徐浩修가 속편한 것으로 추측된다. 『群書標記』는 속편본까지 經史子集 四部로 분류되어 있고 결국은 御定과 命撰으로 분류되었다. 그동안 한국학계에서 제기되던 『群書標記』五卷本說에 대한 원인을 찾았다. 御製四集本의 第二卷이 다른 五卷과는 달리 目錄 페이지가 없고, 卷頭 비어있는 것 때문에 五卷本說이 잘못 전해졌을 가능성이 높다.

목차

국문초록
1. 緒言
2. 正祖御製集≪弘齋全書≫
3. ≪群書標記≫成書經緯
4. ≪群書標記≫現存版本
5. 關於五卷本的爭議
6.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袁成 원성. 無錫職業技術學院 基礎課部 講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