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통한 제주어 보전방안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ow to Preserve the Jeju Language through Jeju-style Village Development

양정철, 고영희, 고용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by utilizing Jeju-type village development. In order to preserve and utilize the Jeju language, we are promoting projects including the Jeju language in the Jeju-styl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eing promoted in Gimnyeong-ri, Gwannaeup, Jeju City. As a result, by promoting a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the region, the Jeju language will be used more frequently in the region, and opportunities for tourists to communicate in the Jeju language will be created. When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biggest problem was communication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setting up a place where people can communicate in Jeju language, the elderly will be able to use Jeju language freely, and young people and touris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learn Jeju language in real lif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Jeju languag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through town development projects and recognized as a tourism product. To that end,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policy support using a two-track strateg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such as Jeju language preservation and usage, and general area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제주형 마을만들기를 활용하여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어를 보전하고 활용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제주형 마을만들기 사업에 제주어를 포함하여 사업을 추 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지역에서의 제주어 사용빈도를 높이고 관광객에게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 다. 어르신들이 이 사업에 참여하면서 가장 문제로 삼은 것은 젊은 층과의 소통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어로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어 줌으로써 어르신들은 자유로 운 제주어 사용과 젊은 층 및 관광객은 실생활에서 제주어를 사용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제주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하나의 관광상품 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 제주어 보전과 사용 등 전문분야와 일반분야로 나눠 투 트랙 전략을 활용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제주지역에서 제주어 보전 및 사용빈도를 높이기 위해 마을만들기 분야에 제주어를 포함시켜 어르신들이 마을만들기 분야에 참여하여 제주어가 전수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역별로 다양한 언어적 자원을 가지고 있는 제주어를 활용하여 위기의 언어를 보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이며, 향후 제주어 보전정책을 수립하는데에도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조사결과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정철 Yang, Jeongcheol. 제주문화마을연구소 부소장
  • 고영희 Ko, Younghee.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구원
  • 고용진 Koh, Yongjin. 제주한라대학교 관광일본어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