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과거 선어말 어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ast Pre-final Endings

강지훈, 황경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of the past sentence ending through examples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and to discuss the irregular forms of past sentence endings {-deo-}, {-geo-}, and {-eot-}. To this end, we confirmed and organized the preceding and following elements through the principle of binding (integration relationship). The preceding elements are combined with the stem of the verb, the descriptive case particle ‘-ng i’, the past sentence ending ‘-euri-’, i-type vowels, stem endings /i/, /r/, verb stem ‘-eo ha-’, and auxiliary verb suffixes. We confirmed that the following elements include declarative sentence endings, dependent connective endings, past sentence endings for raising subject honorifics, imperative mood endings, adjective endings, and dependent nouns. The article analyzed and discussed the irregular forms of past sentence endings {-reo-}, {-da-} of past sentence ending {-deo-}, and {-eo-}, {-a-}, {-yeo-}, {-ya-} of past sentence ending {-geo-}, and {-at-}, {-Yeot-}, {-yat-} of past sentence ending {-eo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inding through examples. It was confirmed that Korean’s past sentence ending {-deo-} was dominant from the 15th to 18th centuries through exampl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ast sentence ending {-eot-} was used as a past sentence ending from the 17th century to modern Korean and combined with the past sentence ending {-deo-}.

한국어

본고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용례를 통하여 과거 선어말 어미의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확인하고, 과거 선어말 어미 {-더-}, {-거-}, {-엇-}의 이형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합의 원리(통합관계)를 통해 선행 요소와 후행 요소를 확인 하고 정리했다. 이들의 선행 요소는 용언의 어간, 서술격 조사 ‘-이-’, 선어말 어미 ‘-으리 -’, i계 모음, 어간 말음 /ㅣ/, /ㄹ/, 용언의 어간 ‘-’, 사동 접미사 등이 결합 되며, 후행 요소로 평서형 종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청원법 어미, 관형사 형 어미, 의존 명사 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과거 선어말 어미 {-더-}의 이형태 {-러-}, {-다-}와 과거 선어말 어미 {-거-}의 이형 태 {-어-}, {-아-}, {-여-}, {-야-} 및 과거 선어말 어미 {-엇-}의 이형태 {-앗-}, {-엿-}, {-얏-}을 결합의 원리에 따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용례를 통해 국어의 과거 선어말 어미 {-더-}가 우세한 양 상을 보이며, 이에 대립하는 과거 선어말 어미 {-거-}가 있다는 그간의 논의를 반증할 수 있었다. 과거 선어말 어미 {-엇-}은 17세기부터 시작하여 근대 국어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선어말 어미로 과거 선어말 어미 {-더-}와 결합 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거 선어말 어미 {-더-}, {-거-}, {-엇-}과 이형태를 정리하고 논함으로써 개별로 다루어지던 과거 선어말 어미를 종합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과거 선어말 어미
3. 결론(結論)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지훈 Kang, Jihun.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박사과정생
  • 황경수 Hwang, Kyeongsu. 청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