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군사혁신(RMA) 사고과정을 적용한 대드론체계 평가 기준(안) 정립

원문정보

Counter-Drone System Evaluation Framework induced by RMA Thinking Process

조상근, 손인근, 김기원, 서강일, 김권일, 박상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 aggressive threats by North Korea using small drones have heavily impacted on ROK(Republic of Korea) society and it seems to be agreed that counter-drone systems are required to protect our properties. ROK government has been investigating current counter-drone systems for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standard to evaluate the systems. This paper is to propose a counter-drone system evaluation framework which is the outcome through RMA(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thinking process. The RMA thinking process is currently well-implemented in ROK army to develop future military strategy. The proposed framework has 4 categories – threat analysis of North Korea small drones, convergence of detection, tracking and neutralizing systems, integrated operations and available experts and organization - which have corresponding criteria.

한국어

최근 북한 소형무인기에 의한 수도권 지역의 도발은 대한민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대드론체계의 필요성에 대해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드론 위협 대비태 세를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드론체계에 대한 평가 기준이나 절차가 구체화 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이고 종합 적인 분석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가중요시설을 대상으로 한 대드론체계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올바른 현 상진단을 위한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전·기회요소를 상쇄·활용할 수 있는 접근방법 중 하나인 군사혁신 사고과정 기법을 적용하여 대드론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기준을 도출했다. 제시한 평가기준은 북한드론 위협분석, 탐지·추적·무력화체계 융복합, 동시통합 운용, 전문인력 편성·운용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였고 각 분야를 세부 평가항 목을 구체화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군사혁신 사고과정의 이론적 고찰
Ⅲ. 대드론체계 평가 기준(안) 정립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조상근 Sang-Keun Cho. 정회원, 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 정책연구소, 미래기술환경 예측·분석센터 연구교수
  • 손인근 In-keun Son. 정회원, 아주대학교 장위국방연구소 연구교수
  • 김기원 Ki-Won Kim. 정회원, 대경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 서강일 Kang-Il Seo. 정회원, 육본 정책실 드론봇전투체계발전장교
  • 김권일 Kwon-Il Kim. 정회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박상혁 Sang-Hyuk Park. 정회원, 우석대학교 군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