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정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erceived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analyzes the effect of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purpose was to reveal that it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quality of action.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Korean Children's Panel 7th year (2014) data, and Pearson's momen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happiness on teacher-infant and infant-infant interaction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 happiness, teacher-infant, and infant-infant interactions were all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infant and infant-infant interactions, and the influence increased when teacher's happiness was added. Therefore, we need to come up with a plan to increas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 happines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and infant-infant interactions can be meaningfully improved.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가 인식한 교수 효능감, 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에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 석을 하였고,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위해 Pearson’s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관해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수 효능감은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행복감이 더해질 때 그 영향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의 행복감이 모두 있을 때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은 의미 있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리는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의미 있게 높일 수 있도록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 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주요변인 기술통계
2.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3. 교수 효능감, 교사 행복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영미 Jeong Yeong Mi. 정회원, 경남도립거창대학, 아동보육복지과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